KT, 이동식 AI 체험관 ‘AI 스테이션’ 운영

황성완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6 10:40:03
  • -
  • +
  • 인쇄
K-인텔리전스와 ESG 체험관 등 AI 기술 체험 콘텐츠 청소년 및 전국민 제공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는 도서산간 지역 청소년에게 수준 높은 인공지능(AI)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전 국민이 AI 기술을 쉽고 흥미롭게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이동식 AI 체험관 'KT AI 스테이션'의 운영을 시작한다고 16일 밝혔다.

 

▲부석중학교 학생들이 ‘KT AI 스테이션’ 내 외부에 마련된 K-인텔리전스와 ESG 체험관 등 AI 기술 콘텐츠를 체험하고 있다. [사진=KT]

KT AI 스테이션은 K-인텔리전스와 ESG 체험관 등 AI 기술 체험 콘텐츠를 탑재한 이동식 체험 공간이다. 디지털 교육 접근성이 낮은 지역 청소년들이 인공지능 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K-인텔리전스 체험관에서는 ‘AI 스타디움’, ‘AI 스튜디오’ 등 KT의 최신 AI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를 통해 음성인식, 영상합성, 생성형 AI 기술 등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ESG 체험관은 딥페이크와 가짜뉴스를 주제로 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윤리와 정보 판별 능력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KT는 지난 15일 충청남도 부석중학교를 시작으로, 충청남도 내 8개 중학교에서 ‘KT AI 스테이션’을 활용한 현장 체험형 AI 교육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대학생 IT서포터즈(KIT)가 직접 개발한 디지털 윤리 콘텐츠를 바탕으로 AI 코딩 교육과 멘토링도 병행되며, 청소년의 호기심과 주도적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KT는 2024년부터는 대학생 IT서포터즈(KIT)를 새롭게 선발해 도서산간 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AI 코딩 교육과 멘토링을 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까지 ‘KT AI 스테이션’ 운영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체험 중심의 찾아가는 AI 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이 미래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KT는 2007년부터 국내 최초 IT 나눔 활동인 ‘IT서포터즈’를 시작으로,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현재까지 누적 수혜 인원은 약 400만명에 달한다.

 

오태성 KT ESG경영추진실장(상무)은 "AI는 미래 사회를 이끌 핵심 기술인 만큼, 청소년들이 이를 직접 체험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디지털 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청소년들도 ‘KT AI 스테이션’을 통해 양질의 AI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앞으로도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최태원 SK 회장 "AI 발전은 기술자립과 신뢰기반 협력서 시작"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기술자립과 신뢰기반 협력을 두 축으로 하는 인공지능(AI) 전략을 한국과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의 AI 발전 모델로 제시했다. SK그룹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AI’를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

2

해태제과, '에이스데이' 맞아 대학 캠퍼스에 에이스 나눔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해태제과가 오는 10월 31일 ‘에이스데이’를 맞아 고객에게 사랑의 마음을 전하는 전국 순회 커피차 이벤트를 진행했다고 28일 밝혔다. 에이스가 직접 캠퍼스를 찾아가 대학생 고객들에게 에이스와 커피를 나눴다. 지난해에는 서울 소재 대학에서만 진행했지만 올해는 지방 대학까지 확대해 10곳의 학교에서 총 3000개의 에이스와 커피를 전했

3

오뚜기, 제주 숙성도와 라면 한정 메뉴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제주 대표 숙성 흑돼지 브랜드 ‘숙성도’와 함께 ‘오뚜기 라면’을 주제로 한 특별 F&B 협업을 선보인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내년 4월 28일까지 진행되며, 제주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에게 신선하고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한정 컬래버레이션이다. 숙성도 제주 본점·중문점 2곳에서 오뚜기 라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