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최대 명절 디왈리 앞두고, 현지 마케팅 주력하는 롯데제과

박종훈 / 기사승인 : 2021-09-28 11:15:03
  • -
  • +
  • 인쇄
초코파이 신규 TV 광고, 인도 전역 15개 채널 방영

롯데제과(대표이사 민명기)가 인도 최대 명절인 디왈리를 앞두고 주력 제품 초코파이 신규 광고 캠페인을 전개한다.

디왈리는 힌두 달력의 여덟 번째 달 초승달이 뜨는 날을 중심으로 닷새 동안 집과 사원 등에 등불을 밝히고 감사의 기도를 올리는 힌두교 전통 축제다.

올해는 11월 4일부터 8일까지.
 

▲사진 = 롯데제과 제공

 

롯데제과는 신규 TV 광고를 제작하고 인도 전역 15개 채널서 방영한다.

이번 광고의 캐치프레이즈는 ‘India Ka Pause Button(인도의 일시정지 버튼)’이다.

지난 2010년부터 사용한 카피의 변용이다.

남녀노소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해 초코파이와 함께 인생의 가장 멈추고 싶은 즐거운 순간을 표현한다.

롯데인디아는 현재 인도 첸나이와 하리아나 지역에 2개의 초코파이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연간 판매액은 약 400억원 규모.

인도서 롯데 초코파이는 파이류 중 90%를 넘어서는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자랑한다.

롯데제과는 1990년대 말 한국 식품기업 중 가장 먼저 인도 시장 문을 두드렸다.

2004년엔 인도 굴지의 제과기업 패리스를 인수해 발전시켜 나갔다.

특히 롯데제과는 현지서 각별히 친숙한 한국 기업으로 꼽히고 있다. 초코파이는 마시멜로에 쓰이는 동물성 젤라틴을 식물성 원료로 대체해 채식주의자용 초코파이 개발에 성공하면서 인기를 끌었다.

힌두교의 영향으로 소고기를 먹지 않기 때문에, 채식주의자가 전체 인구의 30~40% 가량을 차지할 것으로 추산된다.

일찍부터 고급화 전략을 택한 점도 주효했는데, 현지서 초코파이는 12개 들이 150루피로,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대다. 하지만 인도인들에게 특별한 날 선물용이나 제사 음식 등으로 널리 쓰이게 된 것이다.

한편, 롯데제과는 최근 50여개국에서 판매되는 초코파이의 디자인 매뉴얼을 재정립하고 패키지 디자인 표준화를 단행했다.

향후 글로벌 슬로건으로 ‘Happy Moment’를 내세워 통일된 콘셉트로 각국 마케팅을 전개해 나간다는 전략을 수립했다.

해외 시장의 롯데 초코파이는 2018년 900억원, 2019년 1020억원, 2020년 1130억원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매년 두 자릿 수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롯데제과는 해외 초코파이 공략의 주요 거점인 인도 시장을 시작으로, 연말엔 러시아와 파키스탄에도 광고 방영을 계획하는 등 더욱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글로벌 메가브랜드로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메가경제=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종훈
박종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