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새해 준비 예금’ 판매···"100일만 맡겨도 연 3.1%"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9-21 11:56:24
  • -
  • +
  • 인쇄
2023년 1월 1일에 연 3.1% 금리 받는‘미리! 새해 준비 예금 이벤트'진행
21일 오전 9시 공개 이벤트 코드 입력하면 조건 없이 금리 혜택 제공
100만원 이상 가입, 한도 제한 없고 판매 한도 5천억 소진 시 자동 종료

케이뱅크가 단기성 예금 트렌드에 따라 짧지만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특판 상품을 선보인다. 100일만 맡겨도 연 3.1% 의 이자를 주는 예금이다. 21일 오전 9시에 공개하는 이벤트 코드를 입력하면 조건 없이 금리 혜택이 제공된다. 가입은 100만원 이상이며, 한도 제한 없이 판매 한도 5000억원이 소진하면 자동 종료된다.

케이뱅크(은행장 서호성)는 약 100일 동안 연 3.1% 금리를 받을 수 있는 ‘미리! 새해 준비 예금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 케이뱅크(은행장 서호성)는 약 100일 동안 연 3.1% 금리를 받을 수 있는 ‘미리! 새해 준비 예금 이벤트’를 실시한다. [포스터=케이뱅크 제공]

이번 이벤트는 ‘케이뱅크와 내년을 미리 준비하자’는 콘셉트로 만기 날짜가 2023년 1월 1일로 고정되며 짧은 기간이지만 고금리를 제공한다. ‘코드K 정기예금’(3개월)의 기본금리 연 2.4%에 우대금리 연 0.7%가 추가돼 연 3.1%의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다.

21일 오전 9시 케이뱅크 혜택존 내 이벤트 페이지에서 이벤트 코드가 공개된다. ‘코드K 정기예금’ 가입 시 이벤트 코드를 입력하면 여타 조건 없이 우대금리가 적용되고 만기일이 내년 1월 1일로 자동 지정된다. 가입 금액은 최소 100만원이상이며 가입 한도 제한은 없다. 상품 판매 한도는 5천억원이며 한도 소진 시 이벤트는 자동 종료될 예정이다.

최근 은행권 정기예금 1년물 금리가 연 3% 초반대인 것을 감안하면 100일만에 연 3.1%로 파격적인 금리다. 참고로 케이뱅크 ‘코드K 정기예금’ 1년이상 금리는 연 3.5%이다.

케이뱅크는 지난 7월, 100일 동안 연 3.0%의 금리를 받을 수 있는 ‘100일 예금’ 특판을 실시했고 상품 한도 1000억원이 판매 10분만에 완판 된 바 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금리상승기에 만기를 짧게 가져가는 스마트한 예금 트렌드를 반영해 이와 같은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2023년 첫날 연 3.1% 높은 금리를 받고 기분 좋은 새해를 맞이해 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주식회사 청담, 싱가포르 수출 진행… “해외 시장 판로 확대 기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주식회사 청담은 지난 9일 갈치, 옥돔, 전복장 선물 세트를 싱가포르에 수출했으며, 동남아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수출은 브릿지로드와의 동남아 수출 업무협약에 따라 진행된 것으로, 양사는 당일 MOU 계약 체결 후 선적을 완료했다.청담 측은 지난 8월 미국과 캐나다에 이어 성사된 싱가포르 수출이 해외

2

삼성바이오로직스, 美 제약사와 1.8조원 규모 CMO 계약 체결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는 9일 미국 제약사와 약 1조8000억원 규모(12억9464만 달러)의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계약은 창립 이래 두 번째 규모로, 올해 1월 유럽 제약사와 체결한 2조원대 계약에 이어 또 한 번 초대형 수주 성과를 올린 것이다. 계약 기간은 오는 2029년 12월 31일

3

자생한방병원, 전북 임실군서 한방 의료봉사 실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자생의료재단(이사장 박병모)이 본격적인 수확기를 앞둔 농민들의 건강을 살피기 위해 전북 임실군에서 의료봉사활동을 진행했다.재단은 지난 11일 임실군 오수면행정복지센터에서 의료진 250여 명을 대상으로 한방 진료와 상담을 제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봉사에는 박병모 자생의료재단 이사장, 신민식 사회공헌위원장, 염승철 광주자생한방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