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철도공단, 경부고속선에 차세대 ‘철도 신호설비 본격 도입’

문기환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3 13:30:30
  • -
  • +
  • 인쇄
2027년까지 김천구미역·경주역‘IP기반 전자연동장치’적용…신호설비 국산화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국가철도공단은 국내 철도 신호업계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국가연구개발(R&D) 과제로 공동 개발한 차세대 철도 신호설비 ‘IP(Internet Protocol)기반 전자연동장치’를 경부고속선 김천구미역과 경주역에 본격 도입한다고 22일 밝혔다.

 

▲국가철도공단 사옥사진(철도 트윈타워)
전자연동장치는 신호기·선로전환기 등 철도 신호장치와 상호 연동해 열차의 진로를 설정하는 핵심 장치로, 현재 모든 역에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제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에 도입되는 ‘IP기반 전자연동장치’는 하나의 역에서 인접역 신호장치까지 제어·감시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해 운용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또한 국내 고속철도에 도입 예정인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KTCS-2)과도 연동되도록 설계해, 고속주행 환경에서 열차 운행의 안전성을 한층 강화했다.


KTCS-2(Korean Train Control System-Level2)는 선행 열차의 위치를 감지해 열차 간 안전 간격을 확보해 사고를 방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공단은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 당시 김천구미역과 경주역에 설치된 외산 연동장치를 2027년 12월까지 IP기반 전자연동장치로 개량 완료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기술로 개발한 차세대 신호설비를 고속철도에 적용함으로써 철도 신호설비 국산화의 전환점을 마련하고, 신규 외산장비 도입 대비 57%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설비의 적용성과 안정성 등을 면밀히 검토해 국가 철도망에 확대 도입할 방침이다.


이성해 국가철도공단 이사장은 “IP기반 전자연동장치 도입은 단순 시스템 교체를 넘어, 우리나라 철도 신호설비의 자립과 경쟁력 강화를 의미한다”며,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해 차세대 철도 신호설비가 해외 철도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B인베브, 넷플릭스와 글로벌 브랜드 파트너십 체결
[메가경제=정호 기자] 세계 최대 맥주 회사 AB인베브(AB InBev)가 넷플릭스(Netflix)와 글로벌 브랜드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유명 글로벌 맥주 브랜드들과 인기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간 협업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AB인베브가 보유한 글로벌 브랜드 포트폴리오 전반에 걸친 대규모 계약이다. 23일 AB인베브에 따르면 스포츠·음식·음악·

2

2025 푸드위크 코리아, 2차 얼리버드 할인 티켓 판매
[메가경제=정호 기자] 국내 최대 규모의 종합 식품 전시회인 ‘푸드위크 코리아(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 구 코엑스 푸드위크)’가 2차 얼리버드 할인 티켓을 9월 24일부터 10월 28일까지 판매한다. 23일 푸드위크 코리아에 따르면 보다 많은 관람객들이 방문할 수 있도록 얼리버드 티켓을 판매하고 있다. 24일에 오픈되는 이번 얼리버드 티켓 할인은 푸드위

3

KGM, 추석 맞이 특별 차량 점검 서비스 실시
[메가경제=정호 기자] KG 모빌리티(이하 KGM)가 추석 명절을 앞두고 고객들의 안전한 차량 운행을 위해 ‘추석 맞이 특별 차량 점검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차량 점검 서비스 오는 10월 2일까지 군포 광역서비스센터를 포함해 전국 315개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KGM 전 차종(대형 상용차 제외)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특히 이번 추석 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