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연, ‘2025 부산국제철도기술산업전’ 참가

문기환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8 13:25:38
  • -
  • +
  • 인쇄
친환경 수소열차·레일 온도 상승 저감 장치 등 첨단 철도 기술 공개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2025년 6월 18일부터 21일까지 4일간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열리는 ‘2025 부산국제철도기술산업전’에 참가했다.

 

▲2025 부산국제철도기술산업전
이번 전시회에서 철도연은 친환경 수소열차 축소 모형, 레일 온도 상승 저감을 위한 차열직물 올인원장치, 폐플라스틱과 제철 공정에서 발생하는 산업 부산물인 제강슬래그로 만든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 침목 등 대표 연구성과를 선보였다.

 

'수소열차'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열차로, 운행 중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는 친환경 열차이다. 실증사업을 통해 국내에 도입될 수소열차는 운행 최고속도 150km/h, 1회 충전 주행거리 600km 이상의 성능을 기대하고 있다.

 

‘차열직물 올인원장치’는 여름철 레일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기 위해 개발되었다. 레일 측면에 빛을 반사하는 흰색의 유리섬유 직물을 제작해, 레일 표면에 자석으로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 레일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춰 레일의 열팽창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안정적인 열차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재활용 침목’은 100% 폐플라스틱과 산업 부산물인 제강슬래그로 만들어졌다. 목재 침목을 대체할 수 있으며, 폐자원을 활용하여 철도 인프라의 친환경성을 강화한 연구 성과이다.

 

‘부산국제철도기술산업전’은 세계 4대 철도산업 전문 전시회이자, 국내 최대 규모의 철도 전시회다. 2003년부터 격년으로 개최돼 올해로 12회를 맞이한 이번 전시회에는 국내외 철도 관련 기관과 기업들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철도연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연구성과의 실용화에 집중하고 있다. 철도연은 이번 전시에서 ‘승강장 안전문 스캔센서’ 등 중소기업과 공동 개발한 기술성과 3건, ‘레일 표면 자동 측정장치’ 등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대표 기술이전 성과물 7건도 함께 선보였다. 

 

현장 적용 가능성이 높은 기술들을 포함해 총 22개의 연구성과가 전시돼 관람객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사공명 철도연 원장은 “이번 전시회는 철도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국내외에 선보일 수 있는 소중한 기회”라며, “철도연이 보유한 혁신 기술의 실용화를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까지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39년전 그 느낌 그대로...깨끗한나라, 1986년 국민 화장지 ‘라라’ 한정판 재출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깨끗한나라가 1980년대 국내 대표 화장지 브랜드였던 ‘라라 화장지’를 다시 선보인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재출시는 단순히 과거 제품을 되살리는 차원을 넘어, 59년간 축적된 깨끗한나라의 기술력과 브랜드 신뢰를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해 세대를 아우르는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됐다. 깨끗한나라는 화장지 브랜드의 근간이 된 ‘

2

외식·급식 호조 덕본다... CJ프레시웨이 3분기 실적 기대치 충족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 CJ프레시웨이의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9,207억원(+10.7% YoY), 328억원(+16.3% YoY)으로 예상된다. iM 증권은 7월 소비쿠폰 효과가 외식시장에 일부 긍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주요 사업 경로에서 안정적인 영업 흐름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했다. 급식부문에서는 신규 수주 확대와 핵심

3

이건희 선대회장 5주기 추도식…이재용 등 오너 참석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오는 25일 고(故)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의 5주기를 앞두고 경기 수원에 위치한 가족 선영에서 추도식이 열린다. 23일 재계에 따르면 24일 열리는 5주기 추도식에는 홍라희 삼성미술관 리움 명예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김재열 삼성글로벌리서치 사장 등이 참석한다. 전영현 삼성전자 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