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장관 "전후복구부터 성장까지 K-개발플랫폼 나누겠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정부가 향후 10년간 무려 1200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 참여에 본격적인 시동을 건다.
![]() |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17일 서울에서 율리야 스비리덴코우크라이나 제1부총리 겸 경제개발무역장관과 만나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협업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는 원희룡 장관이 장관이 21∼23일 폴란드 바르샤바를 찾아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의 장·차관급 인사들과 면담하고, 우크라이나 재건 참여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원 장관 등은 우선 22일에서 23일까지 국제사회의 논의에 발맞춰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을 위해 우크라이나와 폴란드 인프라부 고위급과 각각 면담할 예정이다.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한국 기업과 공공이 참여할 수 있도록 초석을 놓는 역할이다.
원 장관은 올렉산드르 쿠브라코프 우크라이나 부총리 겸 인프라부 장관과 우크라이나에서 '제 2 한강의 기적'을 일구기 위한 인프라 재건 관련 업무협약(MOU)을 맺고, 협력관계 구축 방안을 논의한다.
우크라이나에선 러시아 침공으로 파괴된 철도, 도로, 군사시설 재건 수요가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폴란드에는 후방 보급기지와 군 공항 등이 들어설 전망이다.
지난주 방한한 율리아 스비리덴코 우크라이나 제1부총리 겸 경제부 장관은 "재건사업 규모가 10년간 9000억달러(한화 약 1205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한다"며 "신규 원자력발전소 2기 설립과 수소산업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에너지산업 프로젝트에서 한국 기업의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원 장관은 "국제사회의 지원에 힘입어 전후복구부터 경제성장까지 이룬 K-개발플랫폼을 나누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