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디지털대 이희철 교수, ‘주요국의 재외국민 보호제도와 영사조력’ 공저자 참여

이상원 기자 / 기사승인 : 2025-09-09 14:36:37
  • -
  • +
  • 인쇄
10개 주요국 재외국민 보호제도와 영사조력 사례 소개
최근 외교부 영사조직 개편과 디지털 영사 시스템 구축 소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서울디지털대학교는 9일 이희철 교양과정 객원교수가 ‘주요국의 재외국민 보호제도와 영사조력’의 공저자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 신간 ‘주요국의 재외국민 보호제도와 영사조력’ [사진=서울디지털대학교]


이 책은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호주, 싱가포르, 이스라엘, 스웨덴, 아르헨티나, 튀르키예 등 10개국의 재외국민 보호제도와 영사조력 사례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 한국 제도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미국, 일본, 중국 등 10개 주요국의 재외국민 보호 및 영사조력 제도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한국의 제도와 비교했다는 것이다.

재외국민 260만 명 시대, 복잡하고 전문적인 대응이 필요한 사건들이 늘고 있어 대규모 재난 상황에서 영사들은 열악한 인력으로 고군분투하고 있다. 이는 국민에게 충분한 지원을 제공하는 데 한계로 작용한다.

이 책은 2025년도 영사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와의 협력사업과 2025년도 성신여자대학교 부설연구소 지원 과제에 의해 연구댔다.

해외 사건·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 대안을 제시한다. 영사 업무 종사자와 정책 담당자는 물론, 해외 체류를 앞둔 국민에게도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외교 현장에서 오랜 경험을 쌓아온 한동만 교수를 비롯, 이희철 교수 등 11명의 공동 저자가 국가별 대응 체계의 특징과 시사점을 정리했다.

 

이희철 교수는 국내튀르키예 전문가이자 튀르크 역사문화 연구가다. 튀르키예 국립가지대학교(Gazi University)에서 국제관계학으로 석박사 과정을 마쳤다. 

 

대한민국 외교부 외교정책자문위원, 튀르키예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 앙카라 총영사로 활동했으며 튀르키예 국립역사학회 한국대표 회원이다. 

우리 제도의 현재 위치를 객관적으로 점검할 수 있으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어떻게 개선해 나가야 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이 책은 외교 현장의 최전선에서 수년간 재외공관을 지켜온 전직 대사들이, 각국의 재외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행정적 조치 및 영사 조력 범위와 특징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한편, 서울디지털대는 2026학년도 1학기 신·편입생 모집을 오는 11월 말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대학 입학지원센터 홈페이지 및 입학상담 대표전화를 통해 문의가 가능하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국타이어, 3분기 영업이익 5859억원 달성...전년 대비 10.4% 증가
[메가경제=정호 기자] 한국앤컴퍼니그룹의 글로벌 선도 타이어 기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2025년 3분기 글로벌 연결 경영실적 기준 매출액 5조4127억 원, 영업이익 5859억원을 기록했다. 타이어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한 2조 7,070억 원, 영업이익은 10.4% 증가한 5,192억 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

2

알리익스프레스, '11초 장바구니 챌린지' 성수동 팝업 현장 '열기'
[메가경제=정호 기자] 알리익스프레스가 연중 최대 쇼핑 축제인 ‘11.11 광군제’를 앞두고 11월 7일부터 11월 9일까지 서울 성수동에서 알리익스프레스 팝업 스토어 ‘11초 장바구니 챌린지’를 운영하며 MZ 소비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다. 7일 알리익스프레스에 따르면 이번 팝업스토어는 11월 4일부터 온라인에서 먼저 시작된 ‘11초 장바구니 챌린

3

KT&G, '제14회 대한민국 나눔국민대상' 보건복지부 장관상 수상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가 지난 6일 열린 ‘제14회 대한민국 나눔국민대상’ 시상식에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7일 KT&G에 따르면 ‘대한민국 나눔국민대상’은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나눔 활동을 꾸준히 실천해온 개인과 단체를 선정해 포상하는 사회공헌 분야의 대표적인 상으로 꼽힌다. KT&G는 임직원들이 자발적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