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빅컷 효과, 다우존슨 등 미 증시 돈쏠림 심화...아시아 양극화 뚜렷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09-20 15:08:37
  • -
  • +
  • 인쇄
연준의 빅컷, 경기 연착륙 기대감 높여
아시아 증시는 양극화,한국·일본 상승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깜짝 금리 인하 결정이 뉴욕 증시를 사상 최고치로 끌어올리며 전 세계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반면 아시아 주요증시에서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지난 19일(미국시간)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522.09포인트(1.26%) 상승하며 사상 처음으로 4만 2000선을 돌파했다.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 역시 각각 1.70%, 2.51% 상승하며 강세를 나타냈다. 

 

▲ 20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23.03포인트(0.89%) 오른 2,603.83에 개장했다.[사진=연합뉴스]

 

 

이러한 급등세는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에 기인한다. 연준은 지난 18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하며 2년 6개월 만에 금리 인하에 나섰다. 이는 고물가 억제를 위해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해왔던 연준의 정책 방향이 급반전된 것으로, 시장에 큰 충격을 안겼다.

연준은 이번 금리 인하가 인플레이션 제한 정책으로 경색된 고용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물가와 고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며 경기 연착륙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메가경제 분석에 따르면 미국 증시가 연준의 금리 인하에 힘입어 강세를 보이자 미국 시장으로 일부 자금이 쏠렸다. 이에 따라 아시아 증시는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 시각 20일 2시50분 기준 기준 싱가포르는 -0.49%, 인도네시아는 -1.43%, 중국 상해종합은 -0.52%, 중국 CSI 300은 -0.62%, 중국 상해A는 -0.52%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반면 대만은 122.02 +0.55%, 말레이시아는 +0.42%, 인도 +1.05% 등은 일제히 상승하는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일본 니케이225는 +1.70%, 한국 코스피는 +0.69%,, 코스닥 +1.05% 올랐다.


이러한 아시아 증시 양극화 현상에 대한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대체로 이번 빅컷으로 파생할 달러 약세를 완화시킬 각국의 환율 정책에 따른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환율은 양국 간 금리차 외에도, 물가 수준, 경상수지, 자금 수요 등에 영향을 받는다 .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