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빅컷 효과, 다우존슨 등 미 증시 돈쏠림 심화...아시아 양극화 뚜렷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09-20 15:08:37
  • -
  • +
  • 인쇄
연준의 빅컷, 경기 연착륙 기대감 높여
아시아 증시는 양극화,한국·일본 상승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깜짝 금리 인하 결정이 뉴욕 증시를 사상 최고치로 끌어올리며 전 세계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반면 아시아 주요증시에서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지난 19일(미국시간)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522.09포인트(1.26%) 상승하며 사상 처음으로 4만 2000선을 돌파했다.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 역시 각각 1.70%, 2.51% 상승하며 강세를 나타냈다. 

 

▲ 20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23.03포인트(0.89%) 오른 2,603.83에 개장했다.[사진=연합뉴스]

 

 

이러한 급등세는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에 기인한다. 연준은 지난 18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하며 2년 6개월 만에 금리 인하에 나섰다. 이는 고물가 억제를 위해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해왔던 연준의 정책 방향이 급반전된 것으로, 시장에 큰 충격을 안겼다.

연준은 이번 금리 인하가 인플레이션 제한 정책으로 경색된 고용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물가와 고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며 경기 연착륙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메가경제 분석에 따르면 미국 증시가 연준의 금리 인하에 힘입어 강세를 보이자 미국 시장으로 일부 자금이 쏠렸다. 이에 따라 아시아 증시는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 시각 20일 2시50분 기준 기준 싱가포르는 -0.49%, 인도네시아는 -1.43%, 중국 상해종합은 -0.52%, 중국 CSI 300은 -0.62%, 중국 상해A는 -0.52%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반면 대만은 122.02 +0.55%, 말레이시아는 +0.42%, 인도 +1.05% 등은 일제히 상승하는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일본 니케이225는 +1.70%, 한국 코스피는 +0.69%,, 코스닥 +1.05% 올랐다.


이러한 아시아 증시 양극화 현상에 대한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대체로 이번 빅컷으로 파생할 달러 약세를 완화시킬 각국의 환율 정책에 따른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환율은 양국 간 금리차 외에도, 물가 수준, 경상수지, 자금 수요 등에 영향을 받는다 .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