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이 중고 전기차 가격 기준이 되는 배터리의 수명과 잔존가치를 평가해주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SK온은 24일 국내 직영 중고차 플랫폼 기업 케이카(K Car)와 업무 협약을 맺고, 중고 전기차 배터리의 잔여 수명과 잔존가치를 인증해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 |
▲ 정우성 SK온 사업부장(왼쪽)과 전호일 케이카 마케팅부문장 [SK온 제공] |
전기차 배터리는 차량 가격의 절반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가치를 평가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되지만, 이를 측정할 객관적인 기준이 없어 가격 산정이 어려웠다.
SK온이 전기차 배터리의 가격 기준을 제공하면, 케이카는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중고 전기차 가격을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양측은 기대했다.
SK온은 지난해 초 배터리 상태를 분석하고 수명·잔존가치, 이상 현상 등을 사전에 감지하는 '바스 AI'(BaaS AI)를 자체 개발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4월부터 SK렌터카가 운영하는 전기차의 배터리 상태를 분석하는 서비스를 내놨고, 같은 해 11월에는 전기차 충전 앱 'EV 인프라' 이용 고객을 상대로 배터리 진단 서비스를 시작했다.
SK온은 "배터리 진단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하고 업계와 협업을 늘려가는 이유는 배터리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일컫는 바스(BaaS) 산업의 시작점이자 핵심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바스 산업에서는 중고 전기차의 가격 산정과 거래를 위해 배터리 잔존 가치를 평가하는 게 필수다.
또 수명이 짧아 전기차에 사용할 수 없는 배터리를 골라내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재사용하거나 폐기해 재활용 여부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정우성 SK온 이모빌리티사업부장은 “배터리 진단 기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자원선순환을 이룰 수 있는 바스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