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남부발전과 연료전지 발전 탄소배출 최소화 프로젝트

이석호 / 기사승인 : 2023-04-24 15:27:36
  • -
  • +
  • 인쇄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SK에코플랜트가 연료전지로 전기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소량의 탄소도 줄이기 위해 나선다.

 

▲ 연료전 연계 탄소 포집·액화·활용 실증사업 개념도 [자료=SK에코플랜트]


SK에코플랜트는 한국남부발전 영월빛드림본부의 강원도 영월 연료전지 발전소 내 300㎾ 규모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에서 나오는 탄소를 포집·액화한 뒤 수요처에서 활용하는 CCU·CCL 기술 실증 작업에 착수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실증은 국내 최초로 연료전지 전력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배가스(排gas)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냉각·액화한 뒤 수요처에서 활용하는 프로젝트다.

실증 사업은 오는 2025년 5월까지 약 2년간 진행될 예정이다.

SK에코플랜트는 실증사업을 추진·총괄하며 탄소 포집과 액화를 통한 운송과 활용 등의 설비 투자 및 연구개발을 전담한다.

실증 관련 핵심기술 개발과 인허가 업무는 스타트업 회사인 카본밸류가 맡는다. 카본밸류는 SK에코플랜트가 지난 2021년 개최한 개방형 기술 공모전에서 수상한 기업이다.

울산과학기술원 탄소중립실증화연구센터는 카본밸류와 함께 원천설계 수준의 엔지니어링 역할을 수행한다.

조선해양 전문기업인 선보유니텍은 탄소 포집 및 액화 설비를 설치하고 유지보수를 맡는다.

남부발전은 영월빛드림본부 연료전지 발전소 내 유휴부지를 비롯해 유틸리티, 연료전지 배가스 등 사업에 필요한 여러 자원을 지원한다.

SK에코플랜트는 비롯한 실증 참여기관은 순도 99.9%의 이산화탄소를 85% 이상 포집하는 것을 목표로 이번 실증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연료전지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는 3~4% 수준으로 낮아 포집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증 사업에 적용되는 탄소 포집 기술은 압력순환흡착(PSA) 방식이다. 다른 방식보다 장치와 운전이 간단하고 에너지효율이 우수하며, 소용량 모듈화가 가능해 연료전지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포집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탄소 포집·액화 설비는 협소한 연료전지 발전소 부지 안에서도 콤팩트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도록 컨테이너 하나 크기로 구축된다. 포집된 탄소는 액화 과정을 거쳐 액화탄산으로 재탄생된다.

액화탄산은 용접용 가스를 비롯해 냉매, 메탄올·요소, 식음료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고부가가치 원료로 쓰이고 있다. 이번 실증에서 나오는 액화탄산은 선보유니텍의 조선해양 기자재 생산공정에 필요한 용접봉 가스 냉매로 사용된다.

오승환 SK에코플랜트 분산에너지사업 담당 임원은 "연료전지와 CCU·CCL이 연계된 에너지 솔루션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번 실증사업 검증을 토대로 우리 정부의 연료전지 수출산업화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