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터센터 시장 진출 및 글로벌 인프라 확충 기대감 [메가경제=노규호 기자] SK텔레콤이 미국 AI 데이터센터 통합 솔루션 기업 ‘스마트 글로벌 홀딩스(이하 SGH)’에 2억 달러(약 2800억원) 규모 투자를 결정했다.
SKT는 SGH와 전환우선주 투자 계약을 체결하고, 향후 보통주 전환으로 약 10% 수준의 지분을 확보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 |
▲SKT가 미국 AI 데이터센터 통합 솔루션 기업 스마트홀딩스(SGH)에 2억 달러를 투자했다고 16일 밝혔다.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앨토스에서 유영상 SKT CEO(왼쪽)와 마크 아담스 CEO(오른쪽)가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사진=SKT] |
최근 챗GPT 같은 대규모 데이터 학습이 필요한 거대언어모델(LLM) 특성에 따라 더 많은 GPU가 요구되고 있다. AI 클러스터 구축의 난이도와 복잡성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SGH는 대규모 GPU 서버로 구성된 AI 클러스터를 설계·구축·운영한다. 지난해 ‘메타(Meta)’의 GPU 1만6000개 규모 ‘리서치 슈퍼 클러스터’를 구축한 바 있다. 2017년 나스닥 상장 후 지난해 약 14억4000만 달러(한화 약 2조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국내외 AI 데이터센터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 중인 SKT는 SGH의 AI 클러스터 구축 역량을 더해 시너지를 만들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 산업용 특화 엣지(Edge) 솔루션에 통신 인프라와 AI를 접목한 ‘텔코(Telco) 엣지 AI 솔루션’ 개발도 함께한다.
양사는 AI 데이터센터·엣지 AI·미래 메모리 솔루션 등 AI 인프라 사업 영역 전반에 걸친 협력을 보다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SKT가 지난해부터 AI 분야에 투자한 3억 달러 상당의 금액 중 2억 달러는 SGH 투자금이다. ▲미국 생성형 AI 기업 ‘앤트로픽’(1억 달러) ▲GPU as a Service 기업 ‘람다’(2000만 달러) ▲생성형 AI 검색엔진 스타트업 ‘퍼플렉시티’(1000만 달러) ▲AI 데이터센터 통합 솔루션 기업 ‘SGH’(2억 달러) 등에 투자했다.
SKT는 이번 투자로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시장 진출을 위한 강력한 우군을 확보했다는 입장이다.
유영상 SKT CEO는 “SGH에 대한 투자와 협력은 AI 인프라 밸류체인에 대한 경쟁력을 공고히 다질 수 있는 기회”라며, “AI 변혁의 시대를 맞아 선제적인 투자와 협력을 지속해 글로벌 수준 AI 인프라 사업 리더십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