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오민아 기자] 산업은행이 주최하고 기획재정부 및 금융위원회가 주관한 ‘지역활성화 투자 펀드’ 투자설명회가 22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열렸다.
![]() |
▲ 왼쪽부터 이희준 산업은행 PF본부장, 김복규 산업은행 수석부행장,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김동일 기재부 예산실장, 최진광 기재부 지역활성화투자 T/F팀장, 김옥주 주택도시보증공사 주택도시기금본부장. [사진=산업은행] |
이번 설명회는 본 펀드에 대한 시장참여자(자산운용사, 기관 투자자, 시행사, 시공사 등), 지자체, 언론의 관심 및 이해도를 높이고자 추진배경 및 주요 운용방안 등에 대한 설명 세션과 지자체-금융계·산업계 간 대화의 장도 구성됐다.
김복규 산업은행 수석부행장은 개회사에서 “지역경제의 침체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 해결에 적극 공감하는 상황에서 비수도권 지역의 지역활성화 사업을 지원하는 본 펀드의 조성은 정책적 의미가 매우 크다”며 “향후 정부를 지원해 지역활성화 펀드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을 위해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금융부문에서는 새로운 수익기반을 확보하고 수익을 다변화할 수 있다”며 “지자체와 산업계 모두가 힘을 합쳐 지역의 발전과 미래 전망이 있는 프로젝트를 발굴하는데 적극적으로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김동일 기재부 예산실장은 “지역이 기회이며, 지역 경쟁력이 곧 국가 경쟁력이자 국가 성장을 이끌어가는 원동력”이라며 “지역활성화 펀드는 첫째,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 등 다양한 참여주체들이 각자의 비교우위를 살려 역할을 분담했고 둘째, 프로젝트유형, 규모에 어떠한 제한도 없으며 셋째, 속도감있는 프로젝트 추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투자 설명 세션에서는 최진광 기재부 지역활성화 투자 펀드 TF팀장이 그간 지역투자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민간 주도의 지속가능한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한 본 펀드의 추진 배경 및 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산업은행에서는 주요 운영방안 및 FAQ 세션을 통해 본 펀드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을 위한 시장참여자들의 실질적인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