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 이사회 공동의장에 김동준 대표 선임...'2세 경영' 신호탄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06-30 16:30:06
  • -
  • +
  • 인쇄
사내이사 선임 3개월만에 이사회 수장 반열
회사 측 "권한 집중 방지·투명성 제고 차원"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의 장남인 김동준 키움프라이빗에쿼티(PE) 대표가 사내이사 선임 3개월 만에 키움증권 이사회 공동의장직에 올랐다. 이사회 중심의 책임경영 구조를 표방한 결정이지만, 경영 전면 등판을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키움증권은 지난 27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김 대표를 이사회 공동의장으로 선임했다. 기존 이사회 의장이던 이현 부회장과 공동체제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사진=키움증권]

 

김 대표는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로 선임됐지만, 당시에는 경영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비상근 이사였다. 그런 그가 불과 3개월 만에 이사회 수장 반열에 오른 셈이다. 이례적인 인사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실제로 국내 증권사 대부분은 대표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는 구조다. 한국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DB금융투자, 메리츠증권, 케이프투자증권 등도 이런 체제를 따르고 있다. 대신증권의 경우 양홍석 부회장이 주요 경영직을 거친 후 이사회 의장을 맡았다. 반면, 키움증권처럼 경영 경험이 없는 인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과거 김익래 전 회장이 대표이사를 맡지 않고 이사회 의장을 수행했던 전례와 유사하다.

 

키움증권은 공동 의장 선임 배경에 대해 “김동준 이사는 회계학과 경영학을 전공하고 회계법인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전문가로, 글로벌 사업과 리스크 관리 부문에서 이사회 차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동의장 체제는 단독 의장 체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권한 집중을 방지하고, 보다 신중하고 투명한 이사회 운영을 위한 결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금융당국은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 겸직 시 이해상충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통제위원회를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사회 중심 경영이 실제로 실효성을 가질지 여부는 향후 이사회 운영과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평가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나은행, '2025 부동산 投:語(투:어) 세미나' 개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하나은행은 지난 21일과 23일 양일 간 자산가 고객 60여명을 초청해 ‘투자를 말하다, 2025 부동산 투어(投:語, Tour)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하나은행의 '부동산 투어 세미나'는 자산관리를 담당하는 하나더넥스트본부 소속 부동산 전문위원들이 자체적으로 선정한 투자 유망지역을 VIP고객과 함께 소그

2

우리銀, ‘살롱 드 원더라이프’오픈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우리은행은 시니어 고객을 위한 오프라인 커뮤니티 ‘살롱 드 원더라이프(Salon de WONDER LIFE)’를 21일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열고 본격 운영을 시작했다고 22일 밝혔다. ‘살롱 드 원더라이프’는 은행이 단순한 금융 거래 장소를 넘어 고객의 삶과 함께하는 시니어 전용 라이프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전략적 거점이다

3

KB국민은행, '모니모 KB 매일이자 통장' 판매 한도 확대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KB국민은행은 삼성금융네트웍스의 통합 금융 플랫폼인 모니모와 협업한 '모니모 KB 매일이자 통장'의 판매 한도를 늘렸다고 22일 밝혔다.'모니모 KB 매일이자 통장'은 지난 4월 출시 이후 약 두 달 만에 판매 한도인 22만5000좌를 모두 소진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이 후 금융당국의 혁신금융서비스 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