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소액주주 보호 위해 주식매수청구권 도입 발표
방산사업 물적분할을 결정한 풍산이 추석 명절 연휴를 앞두고 터진 악재에 주가가 6% 이상 급락한 채 장을 마쳤다.
이달 금융당국이 물적분할에 따른 소액주주의 피해를 막기 위해 주식매수청구권을 부여하기로 했다는 발표를 하자마자 풍산의 이사회에서 사업재편을 결의한 것이다.
이에 주주가치 훼손을 우려한 소액주주들의 원성도 높아지고 있다.
▲ 풍산 CI |
풍산은 지난 7일 이사회에서 방산사업 부문을 물적분할 방식으로 떼어내 ‘풍산디펜스’를 신설하기로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주주총회 예정일은 내달 31일이며, 분할기일은 오는 12월 1일이다.
전날 공시에 따르면, 풍산디펜스는 자산 규모 1조 2608억 원으로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이 7400억 원에 달한다.
풍산은 이번 분할의 목적에 대해 “전문화된 사업역량 강화를 통해 사업의 고도화를 실현하고, 사업재편을 통해 궁극적으로 기업가치와 주주의 가치를 제고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증시는 풍산의 이 같은 결정을 큰 악재로 받아들였다.
8일 코스피 시장에서 풍산 주가는 장중 9% 이상 곤두박질쳤다가 6.4% 내린 2만 8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방산주 테마가 탄력을 받아 랠리를 펼치고 있는 가운데 ‘물적분할’이라는 찬물을 끼얹는 소식이 전해진 것이다.
풍산은 탄약을 생산하는 대표적인 방산업체로, 국가별 군비 확장 조짐이 뚜렷해지면서 방산 부문 수출 실적도 눈에 띄게 호전되는 상황이었다.
또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로 구리 가격이 한풀 꺾이면서 주가 모멘텀이 약화된 반면 방산사업에는 더욱 힘이 실리는 모양새였다.
게다가 앞서 금융위원회는 이달 4일 ‘물적분할 자회사 상장 관련 일반주주 권익 제고 방안’을 발표하면서 물적분할을 반대하는 주주에게 주식매수청구권을 부여하는 정책을 마련한 것이다.
대기업에서 추진해온 물적분할 이후 상장 과정에서 소액주주들이 피해를 봤다는 여론이 형성되자 정부에서 내년 1월부터 시행하겠다며 내놓은 대책이었다.
풍산의 이번 결정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이번 정부에서 소액주주의 피해 방지를 위해 구체적으로 발표한 첫 금융 정책과도 배치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날 주가가 급락하자 온라인 주식 커뮤니티에서도 소액주주들이 풍산 측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