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소비자물가 4.8% 상승 "금융위기 후 13년반만에 최고"...생활물가도 5.7% 상승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2-05-03 16:07:47
  • -
  • +
  • 인쇄
석유류 가격, 전기·가스요금, 외식, 농축수산물 상승폭 확대
석유류 34.4%·가공식품 7.2%·전기료 11.0%·외식 6.6% 올라

4월 소비자물가가 4%대 후반까지 치솟아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6.85(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4.8% 상승했다. 전월 대비로는 0.7%올랐다.

이는 2008년 10월(4.8%)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 2022년 4월 소비자물가 동향. [통계청 제공]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3.2%) 3%대로 올라선 뒤 2월(3.7%)까지 5개월 간 3%대를 유지하다가 올해 3월(4.1%)부터 4%대를 넘어선 뒤 이달에는 상승률을 더 높였다.

4월 물가는 3월(4.14%) 보다는 0.7% 상승했다.

기획재정부는 “4월 소비자물가는 농축수산물의 소폭 오름세와 함께 석유류와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 외식 등 개인서비스 상승세가 지속되며 상승폭을 확대했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품목성질별 기여도를 보면, 공업제품과 서비스가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 품목성질별 등락률 및 기여도. [통계청 제공]

4월 전체 물가상승률 4.8% 중 공업제품의 기여도는 그 절반이 넘는 2.70%포인트(p)였고, 서비스는 1.68%포인트로 그 뒤를 이었다.

공업제품과 서비스 기여도를 합치면 4.10%포인트나 된다.

공업제품 중 석유류 기여도는 1.48%포인트로 세계적인 유가상승 여파를 반영했고 가공식품은 0.62%포인트의 기여도를 보였다.

서비스 물가는 개인서비스(기여도 1.40%포인트)가 견인했고, 개인서비스 중에서는 외식의 물가기여도가 0.84%포인트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 소비자물가지수 등락률 추이. [통계청 제공]

전년 동월 대비 상품 물가를 보면 공업제품이 7.8%, 서비스가 3.2% 상승했다. 공업제품 중에서는 석유류가 34.4%나 치솟았고 가공식품도 7.2% 올랐다.

특히, 석유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교착상태 장기화와 미국 원유재고 감소 영향 등으로 높은 유가 수준이 지속되면서 오름세를 지속했다.

석유류는 휘발유(28.5%), 경유(42.4%), 자동차용 LPG(29.3%)가 일제히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전월에 이어 30%대 상승률을 보였다.

석유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교착상태 장기화와 미국 원유재고 감소 영향 등으로 높은 유가 수준이 지속되면서 오름폭(31.2%→34.4%)을 더 넓혔다.

전기·가스·수도는 전기·가스요금 인상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6.8% 오르며 상승폭을 확대했다.

전기료는 11.0%, 도시가스는 2.9%, 상수도료는 4.1% 각각 올랐다.

▲ 소비자물가지수 주요 등락률 추이. [통계청 제공]

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개인 서비스가 4.5%, 공공서비스가 0.7%, 집세가 2.0% 각각 오르면서 전체적으로는 3.2% 상승했다.

집세 가운데 전세는 2.8%, 월세는 1.0%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국제항공료 인상 영향 등으로 상승폭을 소폭 확대(0.6%→0.7%)했다.

개인서비스 중 원재료비 상승 영향 등으로 외식은 6.6%가 올랐다. 이는 1998년 4월(7.0%) 이후 가장 높았던 지난달과 같은 상승폭이다.

생선회(10.9%), 보험서비스료(10.3%), 치킨(9.0%). 공동주택관리비(4.7%) 등이 올랐다.

농축수산물도 축산물(7.1%)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 올랐다.

수입 쇠고기(28.8%), 돼지고기(5.5%), 포도(23.0%), 국산 쇠고기(3.4%), 닭고기(16.6%) 등이 올랐고 파(-61.4%), 사과(-23.4%), 쌀(-9.2%), 양파(39.1%) 등은 내렸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를 제외한 지수)는 3.6% 상승했다. 상승률은 2011년 12월(3.6%) 이후 최고 수준이다.

근원물가란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상승률로 전체 458개 품목 중 농산물과 석유류 관련 품목을 제외한 401개 품목으로 구성돼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1% 올랐다.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5.7% 상승했다. 이는 2008년 8월(6.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체 458개 품목 중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작성하는 지수다.

신선식품지수는 과실, 어개류 가격상승으로 전년 동월 대비 3월 -2.2%에서 1.0%로 상승 전환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