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 3분기 영업익 9200억…태풍 여파로 전년 比 71% 급감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10-24 16:54:40
  • -
  • +
  • 인쇄
태풍 피해로 인한 영업손실 4355억 반영

포스코홀딩스가 시황부진과 태풍 힌남노의 여파로 포항제철소 가동 중단을 겪으며 시장 전망치를 밑도는 실적을 기록했다.

포스코홀딩스는 24일 콘퍼런스콜로 진행된 기업설명회에서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21조 1550억 원, 영업이익 9200억 원, 순이익 592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 지난 9월 22일 포항제철소 스테인리스 1냉연공장에서 직원들이 진흙을 제거하고 있는 모습. [사진=포스코 제공]

 

지난 3분기 영업익은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철강 시황부진과 태풍으로 인한 냉천 범람 영향으로 철강 부문에서의 이익이 감소해 전분기 대비 하락했다. 다만 친환경 미래소재 부문에서는 이차전지 소재인 양·음극재 사업 호조로 지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포스코홀딩스는 냉천 범람으로 인한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생산‧판매감소 영향으로 2221억 원, 재고 손실 등 일회성 비용 1860억 원, 그 외 포항지역 사업회사들의 일부 설비 피해 274억 원 등 연결 기준 4355억 원의 영업손실을 입었다.

포항제철소 복구는 현재 ▲1열연 ▲1선재 ▲1냉연 ▲2전강 ▲3전강 ▲3후판 등 6개 공장 재가동을 완료했다.

내달에는 ▲2후판 ▲3선재 ▲4선재 ▲전기도금, 12월에는 ▲2열연 ▲2냉연 ▲2선재 ▲스테인리스 2냉연을 가동해 연내 전제품 생산을 재개할 계획이다. 또한 광양제철소 최대 증산으로 고객 요청에 적시 대응해 국내 철강 수급 영향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포스코는 철강 시황부진으로 인한 판매가격 하락과 원료비 상승으로 매출·영업익이 하락했다. 해외 철강 역시 시황 악화와 판매량 감소로 전 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익이 모두 감소했다.

친환경 인프라 부문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철강 원료 판매 부진, 우크라이나 곡물 판매 중단 ▲포스코건설의 자재가 상승으로 이익이 감소했다.

다만 ▲포스코에너지는 전력수요 증가와 가동률 상승, LNG터미널의 수익성 개선으로 전 분기보다 매출·영업익이 모두 상승했다.

친환경 미래소재 부문인 포스코케미칼은 양·음극재 모두 판매가격이 상승했다. 특히 양극재의 판매량이 전 분기보다 25% 증가하면서 영업익이 대폭 개선됐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최태원 SK 회장 "AI 발전은 기술자립과 신뢰기반 협력서 시작"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기술자립과 신뢰기반 협력을 두 축으로 하는 인공지능(AI) 전략을 한국과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의 AI 발전 모델로 제시했다. SK그룹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AI’를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

2

해태제과, '에이스데이' 맞아 대학 캠퍼스에 에이스 나눔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해태제과가 오는 10월 31일 ‘에이스데이’를 맞아 고객에게 사랑의 마음을 전하는 전국 순회 커피차 이벤트를 진행했다고 28일 밝혔다. 에이스가 직접 캠퍼스를 찾아가 대학생 고객들에게 에이스와 커피를 나눴다. 지난해에는 서울 소재 대학에서만 진행했지만 올해는 지방 대학까지 확대해 10곳의 학교에서 총 3000개의 에이스와 커피를 전했

3

오뚜기, 제주 숙성도와 라면 한정 메뉴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제주 대표 숙성 흑돼지 브랜드 ‘숙성도’와 함께 ‘오뚜기 라면’을 주제로 한 특별 F&B 협업을 선보인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내년 4월 28일까지 진행되며, 제주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에게 신선하고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한정 컬래버레이션이다. 숙성도 제주 본점·중문점 2곳에서 오뚜기 라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