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 네이버통장 잔고 2조원 돌파···MZ세대 64%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6-19 17:02:28
  • -
  • +
  • 인쇄
올해 신규 가입자 중 20~30대 비중 63.9% 차지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연 3.55% 금리 주요 요인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미래에셋증권 CMA-RP 네이버통장 잔고가 2조원을 돌파했다.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혜택과 연 3.55% 금리가 주요 요인으로 평가된다.


미래에셋증권은 ‘미래에셋증권 CMA-RP 네이버통장’(‘이하 미래에셋증권X네이버통장’)의 잔고가 2조를 넘어섰고, MZ 세대 비중 또한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미래에셋 센터원빌딩 [사진=미래에셋증권]


‘미래에셋증권X네이버통장’ 이용 고객의 잔고 구성을 보면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CMA RP에 예치된 자금이 1조 2145억 원(총 잔고 중 59.4%)으로 가장 많았지만, 주식이나 발행어음, 채권, ELS, 펀드 등의 자산도 8309억원(총 잔고 중 40.6%) 수준으로 자산관리계좌로 활용하는 고객도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미래에셋증권X네이버통장’ 이용 고객의 주 연령층은 20~40대로 전체 가입자의 79%를 차지하고 있으며, MZ 세대인 20~30대의 비중은 통장이 출시된 2020년과 2021년에는 가입 고객 중 20~30대 비중이 45.0%, 47.3% 정도였으나 2022년과 2023년에는 이 비중이 63.4%, 63.9%로 부쩍 늘어났다. 이는 ‘미래에셋증권X네이버통장’의 CMA금리 혜택과 MZ세대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포인트 모으기 차원에서의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혜택이 주요 요인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X네이버통장’은 미래에셋증권의 RP형 CMA와 네이버페이를 결합한 상품으로, 미래에셋증권과 네이버파이낸셜이 디지털금융 시너지를 위해 협업하여 출시했다. 입출금이 자유롭고 하루만 맡겨도 1000만 원까지는 연 3.55%, 1000만 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연 3%의 수익을 제공하며 통장 내에서 국내·외 주식투자, 공모주 청약, 펀드 등의 금융상품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다.

또한 통장으로 네이버페이 머니를 충전 후 결제하게 되면 결제금액의 최대 3%가 네이버페이 포인트로 적립되며, 통장을 가지고만 있어도 네이버페이로 현장 결제 시 포인트를 2배 적립 받을 수 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미래에셋증권CMA-RP네이버통장의 MZ세대 비중이 늘어나는 것은 네이버페이 포인트 혜택, 여유 자금을 운용하기에 매력적인 금리, 더불어 주식투자까지 하나의 통장에서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MZ 세대에게 필수 통장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혜택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