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보-중진공, 창업기업 경영 안전망 강화 ‘정책 원팀’ 구성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5-30 17:34:37
  • -
  • +
  • 인쇄
보험료율 할인 및 인수비율 우대
매출채권 다사랑보험 가입기업 대상 창업자금 금리 인하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신용보증기금(이사장 최원목)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사장 김학도)과 창업기업 경영 안전망 강화 '정책 원팀'을 구성했다. ‘중진공 창업기반지원자금 대출’ 기업에 보험료율 할인 및 인수비율을 우대하며, 중진공, 매출채권 다사랑보험 가입기업 대상으로 창업자금 금리도 인하한다.


신용보증기금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매출채권보험과 정책자금 상호 연계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최원목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왼쪽)과 김학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이 30일 '프론트원'에서 열린 '매출채권보험과 정책자금 상호 연계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신용보증기금]

이번 협약은 복합위기 장기화에 따른 기업의 연쇄도산을 방지하고 양 기관의 금융상품 연계를 통한 매출채권보험의 저변 확대와 창업기업의 경영 안전망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신보는 중진공의 창업기반지원자금(운전자금) 이용 기업에게 보험료율의 10%를 할인하고 보험 인수비율 85%까지 상향 우대한다. 중진공은 매출채권보험 가입기업이 창업자금 신청할 경우 대출금리의 0.1%p 인하 혜택을 제공한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중소기업지원 유관기관 간 칸막이를 제거하고 강력한 ‘정책 원팀’을 구성함으로써, 중소기업 경영지원에 더욱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매출채권보험은 신보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업무를 수탁받아 운용하는 공적보험제도로 보험에 가입한 기업이 물품이나 용역을 외상판매한 후, 거래처로부터 대금을 회수하지 못하면 손실금의 최대 80%까지 보상해준다.

신보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채권보험 가입기업의 보증 부실률은 1.10%로, 미가입기업의 보증 부실률 2.79% 대비 1.69%의 부실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중진공 추천기업이 매출채권보험에 가입하는 경우, 중진공의 정책자금 지원효과에 부실 감소효과가 더해져 창업기업의 데스밸리 극복과 생존률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원목 신보 이사장은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으로 매출채권보험의 저변이 확대되고 기업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받게 될 것”이라며, “복합위기가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신보는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인 21.2조원의 매출채권보험을 지원하여 중소기업 상거래 안전망을 더욱 촘촘하게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유안타증권, 사내 AI 교육 프로그램 운영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유안타증권은 임직원의 인공지능(AI) 실무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해 전략적 교육 프로그램 '에이아이빌리티 아카데미'(AIbility Academy) 과정을 신설해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교육 과정은 우선 본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1차수 교육을 포함해 다음달 22일까지 각 차수마다 30명씩, 총 7개 차수에 걸쳐

2

이지스자산운용, 제10기 신입사원 공개채용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이지스자산운용이 제10기 신입사원 공개채용을 진행한다고 11일 밝혔다. 서류 접수는 이날부터 오는 30일까지다. 신입사원은 부동산 실물자산 투자, 상장 리츠 투자 및 관리, 자산운용 및 매각 등 투자 및 자산운용 업무 전반에 배치될 예정이다. 통합 선발 후 체계적인 신입사원 교육을 거쳐 적성과 역량에 따라 부서 배치를 진행한다.

3

삼성자산운용, 업계 최초 ETF 순자산 90조 돌파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상장지수펀드(ETF) 브랜드 ‘KODEX’가 업계 최초로 순자산 90조원을 돌파했다고 11일 밝혔다. 삼성운용은 2002년 첫선을 보인 뒤 현재 KODEX ETF 총 220개를 운용하며 시장 점유율 38.3%를 차지하고 있다. 특정군에 치우치지 않은 다양한 테마와 전략을 담은 상품들이 고르게 성장했다. 순자산 10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