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렌탈, 청약 경쟁률 65.8대1···8조 4000억원 몰려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08-10 18:00:28
  • -
  • +
  • 인쇄
19일 유가증권 시장 상장
공모가 희망밴드(4만7000~5만9000원) 최상단인 5만9000원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2조1614억원 수준
▲렌탈업계 1위 롯데렌탈의 최종 통합 청약경쟁률이 65.81대 1로 나타났다. [사진=한국투자증권 제공]

 

렌탈업계 1위 롯데렌탈의 상장을 위한 최종 통합 청약경쟁률이 66대 1을 기록하며, 8조원이 넘는 증거금이 몰렸다.

 

10일 롯데렌탈의 공동 대표 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은 청약경쟁률이 65.81대1, 청약증거금이 8조 4001억 2677만원이 몰렸다고 밝혔다.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키움증권, 신한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의 통합 청약 경쟁률은 65.81대1을 기록했고, 432만6600주 모집에 청약주식수는 2억8475만60주다. 

 

▲ 자료=한국투자증권 제공

삼성증권의 경쟁률이 132대1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미래에셋증권(118.69대1), 한국투자증권(74.87대1), NH투자증권(59.38대1), KB증권(52.51대1), 하나금융투자(51.67대1), 신한금융투자(44.65대1), 키움증권(42.34대1)이 이었다.

 

만약 1000주(증거금 2950만원)를 청약한 투자자라면 비례배정에서 최소 3주(삼성증권), 최대 12주(키움증권)를 배정 받는다. 균등배정의 경우 증거금과 관계없이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신한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는 3~4주를, 삼성증권, 키움증권은 1~2주를, 미래에셋증권은 0~1주를 배정받는다. 

 

롯데렌탈은 앞서 지난 3~4일 이틀 동안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총 762개 기관이 참여해 217.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공모가 희망밴드(4만7000~5만9000원) 최상단인 5만9000원(액면가 5000원)으로 공모가를 확정했고 총 공모금액은 약 8509억원이다. 공모가를 기준으로 한 시가총액은 2조1614억원 수준이다.


롯데렌탈은 장·단기 렌터카, 오토리스, 중고차, 카셰어링, 일반렌털 등 모든 렌털 서비스를 아우르는 종합 렌털 기업이다. 올해 1분기 매출액은 5889억원, 영업이익 492억원, 당기순이익은 186억원이었다.

 

롯데렌탈은 오는 12일 환불과 납입절차를 거쳐 19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될 예정이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