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군산시 해역에서 올해 한반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 지진화산국의 지진 분석서에 따르면, 21일 오전 9시 40분경 전북 군산시 어청도 서남서쪽 124km 해역에서 규모 4.0의 지진(깊이 7km)이 발생해 약 20초 후 전남 홍도 지진관측소에 최초 감지됐다.
진앙은 북위 35.70도, 동경 124.70도다.
![]() |
▲ 지진발생위치 [출처=기상청] |
지진으로 인한 최대계기진도는 전남 지역의 2이다. 이는 조용한 상태나 건물 위층에서 소수의 사람이 느낄 수 있는 크기이다.
지진계 중 강진동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를 이용해 지반의 운동을 측정한 최대지반가속도(PGA)는 완도 지진관측소에서 0.11%g(중력가속도의 백분율)로 관측됐다.
![]() |
▲ 올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순위. [출처=기상청] |
이번 지진은 올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 36회 중 가장 큰 규모이며, 올해 규모 3.0 이상 지진으로는 세 번째다.
지난 2월 8일 북한 함경남도 장진 북북동쪽 37㎞ 지역에서 규모 3.2 지진이 있었고, 지난 4월 19일 전남 신안군 흑산도 북서쪽 54㎞ 해역에서 규모 3.7의 지진이 발생했었다.
![]() |
▲ 규모 2.0 이상 총 36회 올해 진앙분포도. [출처=기상청] |
기상청은 관측 후 약 22초 만에 지진속보를 발표했다. 하지만 먼바다의 지진이라 국민들에게 직접 전달되는 지진재난문자는 발송하지 않았다.
![]() |
▲ 21일 군산 어청도 서남서쪽서 발생한 규모 4.0 지진 주향이동단층 단층운동 분석 모식도. [출처=기상청] |
지진화산국은 “이번 지진은 한반도의 주된 힘의 방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향이동단층이 북서-남동(또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해역에서 발생해 지진을 일으킨 단층을 특정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주향이동단층은 단층 이동이 단층면의 주향(走向·단층선이 향하는 방향)에 대체로 평행한 단층을 말한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