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 시총 2조 규모 코스닥 데뷔 성공...국산 30호 신약 '케이캡' 주목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8-09 22:07:23
  • -
  • +
  • 인쇄

HK이노엔(inno.N)이 코스닥 상장 첫날 공모가보다 15% 이상 상승하며 성공적으로 입성했다.

HK이노엔은 9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돼 공모가(5만 9000원) 대비 15.4% 오른 6만 85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시초가인 6만 8100원 수준에서 거래를 마친 것이다. 

 

▲ (왼쪽부터) 장석훈 삼성증권 사장, 박태진 제이피모간 대표, 윤상현 한국콜마홀딩스 부회장, 손병두 한국거래소 이사장, 강석희 HK이노엔 사장, 정일문 한국투자증권 사장, 홍순욱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 김기경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 상무 [사진=HK이노엔 제공]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1조 9800억 원으로 코스닥 종목 가운데 24위로 데뷔했다.

장중에는 시초가 대비 15.9% 상승한 7만 8900원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장 막판 매도세가 강하게 나타나며 주가를 끌어내렸다. 


숙취해소음료 '컨디션'으로 유명한 HK이노엔은 전문의약품(ETC)과 HB&B(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및 음료) 사업을 운영하는 바이오헬스 기업이다.

지난 1984년 CJ제일제당 제약사업부로 시작해 2014년 물적분할을 거쳐 CJ헬스케어로 출범했다. 이후 2018년 4월 한국콜마에 인수돼 지난해 사명을 HK이노엔으로 바꿨다.

국내 30호 신약인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정'을 필두로 백신, 수액 등 다양한 분야에서 160여 개 의약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컨디션, 헛개수 등 간판 제품 외에도 뉴틴(건강기능식품), 클레더마(더마코스메틱), 스칼프메드(두피/탈모케어) 등 생활밀착형 브랜드를 출시하며 HB&B사업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케이캡정은 출시 6개월 만에 시장점유율 1위에 올랐으며, 2년 누적 1000억 원이 넘는 원외처방실적을 기록하는 등 국산 대표 신약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해외 24개국에 기술수출이나 완제품 수출 형태로 진출했으며, 미국에서도 임상 1상을 진행하는 등 글로벌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또한 소화, 자가면역, 감염, 암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16개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보해 운영 중이며, CAR-T, CAR-NK 등 세포유전자치료제 사업에도 진출해 글로벌 혁신기술 플랫폼을 장착했다.

강석희 HK이노엔 대표는 “앞으로 신약/신제품 연구개발 및 미래사업 투자,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등을 통해 시장을 리딩하는 글로벌 톱 티어(Top tier) 바이오헬스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