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외국인직접투자 신고 54.5억달러 "역대 최대"...그린필드형 37.2억·M&A형 17.3억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2-04-07 22:58:32
  • -
  • +
  • 인쇄
도착 기준 43.3억달러 역대 2위...제조업 투자 267% 증가
미국 8.7억, EU 5.8억, 중화권 11.9억, 일본 4억 달러
제조업 16.4억달러 “267.0%↑”...서비스업 37.7억 “9.4%↓”
신규투자 14.9억, 증액투자 38.4억, 장기차관 1.1억 달러

올해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가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신고금액을 기록했으며, 제조업이 크게 증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에서 FDI가 신고 기준 54억5천만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14.9% 증가해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보였다고 밝혔다.

도착 기준 FDI는 43억 3천만달러로 역대 최다였던 작년 동기(44억5천만달러)에 이어 역대 2위를 기록했다. 

 

▲ 연도별 1분기 FDI 실적. [산업부 제공]

건수는 FDI 신고기준 830건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8.9%, 도착기준 663건으로 16.1% 각각 증가했다.

산업부는 1분기 FDI 실적에 대해 “우크라이나 사태, 국제유가·원자재가 상승 등 불확실한 전세계적 투자환경 속에서도 양적·절적으로 우수한 실적”이라고 평가했다.

투자 금액과 투자 건수 모두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양적 측면에서 우수한 실적을 기록했고,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신규투자 증가 등 투자의 질적 측면에서도 좋은 실적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 업종별 신고금액과 신고건수. [산업부 제공]


1분기 FDI를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총 16억4천만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267.0%나 크게 증가했다. 1분기 전체 FDI 중 비중이 30%에 달했다.

반면 서비스업은 37억7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4% 줄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21억달러 대형 투자 사례로 인한 역기저효과 때문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기타업종(농·축·수산·광업, 전기가스·수도·환경정화업)도 69.1%나 크게 감소했다.


▲ 제조업 21년과 22년 1분기 신고금액. [산업부 제공]

제조업 중 증가한 업종은 식품(594.1%), 기계장비·의료정밀(487.0%), 운송용 기계(98.1%), 전기·전자(70.5%), 반도체(370.7%) 등이었다.

반면 비금속광물과 제지·목재는 각각 작년 동기 대비 78.1%와 100.0% 감소했다.

▲ 서비스업 21년과 22년 1분기 신고금액. [산업부 제공]

서비스업 중 증가한 업종은 운수·창고(3470.1%), 도·소매(299.4%) 부동산(221.1%) 등이었고, 감소한 업종은 정보통신(-60.8%), 연구개발·전문·과학기술(-22.7%) 등이었다.

국가별 신고금액은 유럽연합(EU)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미국은 총 8억7천만달러로 284.7%, 중화권(중국·홍콩·싱가포르·말레이시아·대만)은 총 11억9천만달러로 39.0%, 일본은 총 4억8천만달러로 94.6%, 기타는 총 23억3천만달러로 671.1% 각각 증가했다.

▲ 국가별 신고금액과 신고건수. [산업부 제공]

EU(영국 포함)는 5억8천만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81.3%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의 대규모 투자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것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전체 FDI 중 투자 용지를 직접 확보하고 생산시설을 직접 설립하는 '그린필드형 투자'는 총 37억2천만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128.5% 대폭 증가한 반면 '인수합병(M&A)형'은 총 17억3천만달러로 44.5% 감소했다.

▲ 대상별 신고금액과 신고건수. [산업부 제공]

그린필드형 FDI는 제조업(243.9%)과 서비스업(112.2%) 모두 증가했으나 M&A형은 금융·보험(-93.0%), 정보통신(-76.3%) 등 서비스업 투자가 감소했다.

신고금액을 자금별로 보면 신규투자와 증액투자가 각각 42.2%와 7.5% 증가했으나 장기차관은 3.8% 감소했다.

▲ 자금별 신고금액과 신고건수. [산업부 제공]

이중 신규투자액은 14억9천만달러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늘었으며, 특히 제조업에서 증가를 견인했다. 증액투자액은 38억4천만달러로 제조업 투자는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서비스업은 감소했다. 장기차관은 1억1천만달러였다.

신고금액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총 37억2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0% 감소했으나 수도권 이외 지역은 9억4천만달러로 149.5% 증가했다.

▲ 지역별 신고금액과 신고건수. [산업부 제공]

수도권 중에서는 서울(-23.9%)의 신고금액이 줄어든 반면, 경기(-197.6%)와 인천(-719.7%)의 신고금액은 큰 폭으로 늘었다.

올해 1분기 구체적인 투자 사례를 보면 신고금액 기준 상위 20개의 투자금은 35억7천만달러로 전체 신고금액의 65.5%를 차지했다. 이중 ‘1억달러 이상~10억달러 미만’의 투자 사례는 그린필드형 6개, M&A형 4개 였다.

상위 20개 투자금 사례를 국가별로 보면 과테말라 2개(그린필드형 2), 케이만군도 5개(그린필드형3, M&A형2), 미국 4개(그린필드형4), 싱가포르 4개(그린필드형2, M&A형2), 몰타 1개(그린필드형), 중국 1개(그린필드형), 일본 1개(M&A형), 홍콩 1개(M&A형), 스위스 1개(M&A형)이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비상교육,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디자인 부문 ‘대통령 표창’ 수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비상교육은 제27회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디자인 경영 부문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대한민국디자인대상’은 창의적인 디자인 경영으로 국가 디자인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 발전에 기여한 기업, 기관, 개인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국내 디자인 분야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진 상으로 평가된다.비상교육은 2018년 교과서 발행

2

라이온하트 스튜디오, ‘발할라 서바이벌’ 8챕터 업데이트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라이온하트 스튜디오는 핵앤슬래시 로그라이크 게임 ‘발할라 서바이벌’에서 8챕터 ‘바나하임 남부’ 지역을 비롯한 다양한 콘텐츠 업데이트를 실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신규 전장 공개와 함께 캐릭터 성장의 재미를 강화하는 콘텐츠로 구성됐다. 먼저, 신족의 수중 도시를 무대로 한 8챕터 ‘바나하임 남부’가 추가돼 색다른 전

3

지성원 현대차 전무, 디자인대상 '대통령상 표창' 수상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자동차 지성원 전무가 제27회 대한민국디자인대상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현대자동차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코엑스 그랜드컨퍼런스룸에서 열린 제27회 대한민국디자인대상 시상식에서 브랜드마케팅본부장 지성원 전무가 디자인공로 부문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대한민국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