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카드 ‘펭카’ 대박…펭수 카드 출시 26일 만에 20만 장 발급

정창규 / 기사승인 : 2020-03-23 17:07:39
  • -
  • +
  • 인쇄
2030세대 전체 발급 고객 10명 중 7명 이상 차지
펭하(펭수 하이)’ 포즈를 넣은 ‘펭카’ 버전(왼쪽)과, 펭수의 다양한 표정을 이모티콘으로 만들어 카드 디자인으로 사용한 ‘펭모티콘’ 버전(오른쪽).(사진=KB국민카드)
펭하(펭수 하이)’ 포즈를 넣은 ‘펭카’ 버전(왼쪽)과, 펭수의 다양한 표정을 이모티콘으로 만들어 카드 디자인으로 사용한 ‘펭모티콘’ 버전(오른쪽).(사진=KB국민카드)

[메가경제= 정창규 기자] KB국민카드(사장 이동철)가 지난달 17일 선 보인 ‘KB국민 펭수 노리 체크카드’가 초반 폭발적인 인기 몰이를 이어가며 출시 26일만에 발급 카드 수 20만 장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카드는 900만 명 이상의 고객이 선택한 스테디셀러 체크카드‘KB국민 노리 체크카드’에 전 국민의 사랑을 받는‘펭수’를 카드 디자인에 담은 것으로 출시 전부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많은 관심과 화제의 중심이 됐던 상품이다.


지난 3월 16일 20만 장에 이어 지난 19일까지 발급된 21만 여 장의 카드 발급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직통령’이라는 별명에 걸맞게 2030세대가 전체 발급 고객 10명 중 7명 이상을 차지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42.3%로 가장 많았고 30대(34.0%)와 40대(13.3%)가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여성이 75.6%를 차지해 남성보다 3배 이상 많았다.


발급 받은 카드 디자인은 ‘펭카’ 디자인이 ‘펭모티콘’ 대비 4.5배 많았다.


발급 신청 채널은 인터넷 등 온라인 채널이 89.0%를 기록하며 오프라인 채널(11.0%) 보다 8배 높았다.


KB국민카드는‘KB국민 펭수 노리 체크카드’에 대한 고객들의 폭발적인 관심과 성원에 보답하고자 당초 발급 고객 20만명에 대해 선착순으로 제공할 예정이었던 ‘펭수 스티커’를 4월 말까지 카드를 발급 받는 고객 전원에게 증정할 계획이다.


KB국민카드 관계자는 “2030 직장인을 중심으로 많은 고객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는 ‘펭수’를 카드업계 최초로 카드 디자인에 담았다는 화제성과 ‘노리 체크카드’의 우수한 상품성이 초반 거침없는 흥행의 원동력으로 보인다”며 “시장 트렌드 변화와 차별화된 개성을 추구하는 고객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상품성과 화제성을 겸비한 카드 상품을 계속해서 선 보일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창규
정창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2

AI 반도체 수요 폭발...8월 ICT 수출, 역대 최대치 달성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지난 8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이 반도체 판매 호조에 힘입어 같은 달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8월 ICT 수출액은 228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1.1% 증가했다. 특히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수요 확대가 반도체 수출 증가를 이

3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 결론 못 내...대규모 투자 조건 줄다리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를 위해 방미했던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4일 귀국했다. 김 장관은 미국 뉴욕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만나 한국의 대미 투자 구조와 이익 배분 방식 등 세부 쟁점을 논의했으나, 협의가 어느 정도 진전됐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이날 새벽 인천공항에 도착한 김 장관은 협상 결과를 묻는 질문에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