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집단감염 제주도까지 확산 비상 "30대 여성 확진"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0-05-09 23:34:39
  • -
  • +
  • 인쇄
제주도 ‘코로나19 청정지역’ 선언 하루만에 깨져

[메가경제= 류수근 기자]이태원 클럽관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서울에서 가장 먼 제주도에서까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코로나19 청정지역' 복귀 선언이 하루만에 깨졌다.


제주특별자치도는 9일 밤 보도자료를 통해 “집단 발병이 발생한 이태원 소재 클럽에 다녀온 30대 여성이 코로나19 진단검사에서 확진 판정을 받았다”며 “서울 용산구 이태원 킹클럽에 다녀온 A씨가 이날 오후 9시경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도내 14번째 확진자가 발생했다”는 전했다.


제주도는 8일 오후 도내 5번 확진자인 20대 여성이 완치 판정을 받고 퇴원하면서 도내에서 발생한 확진자 13명이 모두 퇴원, 다시 '코로나19 청정지역'이 되는 듯했다.


하지만 이날 A씨가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제주도는 '코로나19 청정지역' 간판을 하루 만에 다시 내리게 됐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다녀간 서울 용산구 이태원의 한 클럽의 9일 오후 모습. [사진=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다녀간 서울 용산구 이태원의 한 클럽의 9일 오후 모습. [사진= 연합뉴스]


제주도에 따르면, A씨는 지난 2일 제주를 떠난 뒤 5일 0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 소재 킹클럽에 머물렀다. 이후 A씨는 6일 오후 3시경 제주도로 되돌아왔다.


이태원 킹클럽은 지난 6일 확진된 용인 66번째 확진자 B씨(29)가 다녀간 뒤 코로나19 집단감염 발생지로 급부상한 곳이다.


A씨는 9일 제주보건소로 용산구 클럽 방문 사실을 자진 신고한 뒤 오후 4시께 자차를 이용해 제주보건소 선별진료소에 방문해 검체를 채취했다. 이후 오후 5시 30분께 보건환경연구원에 코로나19 검사를 의뢰했고 오후 9시께 양성 판정을 받았다.


제주도는 “A씨는 기초조사에서 ‘타 지역 방문 시부터 현재까지 무증상이었다’고 진술했다”고 전했다.


제주도는 “제주대학교병원 격리병상 입원을 위해 환자를 이송 조치함과 동시에 정확한 동선 확인을 위한 역학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A씨의 상세 동선이 파악되는 즉시 구체적인 사항을 공개하고 방역 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제주도는 “연휴 기간인 지난 4월 29일 밤 10시부터 5월 6일 낮 12시 사이에 서울 이태원 소재 5개 클럽(킹클럽, 퀸, 트렁크, 소호, 힘)을 방문한 도민은 반드시 외출을 자제하고 증상을 관찰하는 한편, 인근 보건소나 지역 콜센터 또는 질병관리본부 상담센터에 신고 할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류수근 기자
류수근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애경산업 루나, 아티스트 믹싱 컨실러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애경산업 메이크업 전문 브랜드 ‘루나’(LUNA)는 ‘아티스트 믹싱 컨실러’(ARTIST MIXING CONCEALER)를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루나 아티스트 믹싱 컨실러는 청담동 메이크업 샵 ‘더클래스 모나크’의 양수정 원장이 직접 참여해 개발한 제품으로, 프로페셔널 아티스트의 커버 기밀 레시피를 담은 컨실러다. 루나 아티스

2

AI 기반 개인 맞춤형 피부 관리 어플리케이션 ‘바이오메디' 출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엠피컴퍼니가 AI 기반의 개인 맞춤형 피부 관리 어플리케이션 ‘바이오메디'를 선보이며 에스테틱 시장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바이오메디는 과학적 근거 없이 일률적으로 제공되던 기존 시술의 한계를 넘어, 고객의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시중의 피부 관리 시술은, 높은 비용을 지불하고도 개

3

오뚜기, 할랄 인증 ‘진라면’ 인도네시아 본격 판매 개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가 할랄 인증을 획득한 ‘진라면’을 앞세워 세계 2위 인스턴트라면 시장인 인도네시아에서 본격 판매에 나선다고 10일 밝혔다. 오뚜기는 지난 2024년 12월 인도네시아 울라마위원회(MUI)로부터 할랄 인증을 획득하고, 지난 8월 초 수입허가(ML)를 완료했다. 11월부터 대형마트와 슈퍼마켓을 중심으로 현지 판매에 돌입할 예정이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