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휴가 '렌터카 이용 피해' 급증! 수리비과다 '피해구제 신청' 많아

이승선 / 기사승인 : 2020-07-20 11:27:44
  • -
  • +
  • 인쇄

[메가경제= 이승선 기자]렌터카 관련한 소비자피해가 가장 많은 시기는 여름 휴가철이며, '사고 관련 피해'에 대한 구제신청이 가장 많았고, 그중 이용자들은 '수리비 과다청구'에 대한 불만이 가장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한국소비자원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접수된 렌터카 관련 ‘피해구제‘ 신청 819건을 분석한 결과, 2017년 290건, 2018년 253건, 2019년 276건으로 매년 신청 건수가 늘고 있으며, 2019년에는 전년 대비 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여름 휴가 절정기인 7~8월에 가장 많아 모두 173건으로 전체의 21.1%에 이르렀다. 7월이 93건(11.4%), 8월이 80건(9.8%)이었다.


사업자 소재지별로는 제주·서울·경기 등 3개 지역이 총 724건으로 88.4%를 차지했다. 제주가 40.8%(334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 35.2%(288건), 경기 12.5%(102건)가 뒤를 이었다.


최근 3년간 연령대가 확인된 피해구제 신청 733건을 분석한 결과 30대 257건(35.1%), 20대 246건(33.6%)으로, 20~30대가 68.6%를 차지했다.



최근 3년간(17년~19년) 월별 피해구제 신청 현황.[출처= 한국소비자원]
17년~19년 월별 피해구제 신청 현황.[출처= 한국소비자원]
최근 17년~19년 지역별 '피해구제 신청' 현황.[출처= 한국소비자원]
최근 17년~19년 지역별 '피해구제 신청' 현황.[출처= 한국소비자원]


렌터카 서비스 형태 중에서는 '장기렌터카'와 '카셰어링' 소비자 피해가 증가했다.


장기렌터카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2017년 27건에서 지난해에는 45건으로 2년 새 66.7%나 급증했고, 카셰어링은 2017년 69건에서 지난해 78건으로 2년 새 13.0%가 늘었다. 반면 일반렌터카 관련 신청은 2017년 194건에서 지난해 153건으로 같은 기간 21.1% 줄었다.


렌터카는 하루 단위인 일반 렌터카와 시간 단위인 카셰어링, 12개월 이상 빌리는 장기렌터카로 이용 기간에 따라 구분된다.


피해 유형은 '사고 관련 피해'가 46.6%(382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계약 관련 피해' 34.4%(282건), '렌터카 관리 미흡' 5.9%(48건) 등의 순이었다.


서비스 형태 중 일반렌터커와 카셰어링의 경우는 ‘사고 관련 피해’가 각각 50.5%(252건)와 47.7%(105건)로 가장 많았고, 장기렌터카의 경우는 ‘계약 관련 피해‘의 비율은 54.0%(54건)로 가장 높았다.



17년~19년 렌터카 서비스 형태별 '피해구제 신청'현황.[출처= 한국소비자원]
17년~19년 렌터카 서비스 형태별 '피해구제 신청'현황.[출처= 한국소비자원]


'사고 관련 피해'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중복 포함), '수리비 과다청구'가 69.9%(267건)로 가장 많았고, 수리 기간 차를 운행하지 못해 발생한 영업손해인 '휴차료 과다청구'가 48.4%(185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면책금·자기부담금 과다청구' 41.6%(159건), '감가상각비 과다청구' 9.2%(3건) 순이었다.


수리비의 평균 청구금액은 약 182만원이었고, 휴차료 청구금액은 약 73만원이었며, 면책금·자기부담금 청구금액은 약 60만원으로 집계됐다.


앞서 소비자정책위원회는 지난해 렌터카 사고 관련 소비자에게 수리비나 면책금 등이 과다 청구되는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대여 표준약관'의 개정을 공정거래위원회에 권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공정거래위는 렌터카 사업자가 수리비를 청구할 때 차량 수리 명세를 반드시 제공하고, 사고의 경중을 고려해 면책금의 적정 액수가 책정되도록 표준약관을 개정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은 "렌터카 관련 피해 예방을 위해 차량 계약 전, 인수·반납할 때나 사고 발생 시 주의사항을 반드시 확인해달라"고 소비자에 당부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승선
이승선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