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준하, "월 매출 4억이라더니" 36억 강남 아파트 강제 경매넘어가 '무슨 일?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2-03 09:38:30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개그맨 정준하가 주류 유통 도매업체와의 대금 문제로 서울 상성동집이 경매에 넘어갔다. 

 

▲정준하가 자신이 소유한 삼성동 집에 대한 강제 경매 개시를 당한 소식이 알려졌다. [사진='얼굴천재 박은수' 영상 갈무리]

 

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7월 정준하가 소유한 서울 삼성동 집에 대한 강제 경매 개시 결정을 내렸다. 

 

이 집은 2005년 정준하와 그의 부친이 절반씩 지분비율로 취득했다. 채권자는 한 주류 유통 도매업체로, 채권액이 2억 원대로 알려져 경매에 앞서 변제할 가능성도 있다.

 

채권자는 주류유통업체인 A사다. A가 측은 "정준하로부터 2억 3293만 812원을 못 받았다"고 주장하며 이 같은 경매를 신청했다. 다만 정준하는 오랜기간 알고 지냈던 업체에서 무이자로 돈을 빌리기로 했고, 올해 6월 모두 변제했다는 주장이다. A사 측과 작성한 공정증서에 무이자를 명시하는 내용과 함께 지연손해금이 24%라는 것을 나중에 알게 됐다는 입장이다.

 

경매 대상이 된 해당 집의 1차 매각 기일은 오는 10일이다. 정준하 측은 지난달 29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경매 결정을 취소해달라는 청구이의 소와 함께 경매를 긴급히 정지할 수 있는 강제경매정지신청까지 별도로 제출한 상황이다.

 

앞서 정준하는 지난달 13일 방송인 박명수의 유튜브 채널 '얼굴천재 차은수'에 출연해 서울 서초구에 운영 중인 횟집의 매출과 고정 지출을 밝혀 화제를 모은 바 있다. 당시 정준하는 "오픈 2시간 만에 매출 100만 원을 찍었다. 웬만한 방송 몇 개 하는 것보다 장사하는 게 낫다는 생각은 한다, 그래도 방송은 해야 한다"며 "가게를 5개 하는데, 그중 아픈 손가락이 한 두 개 있다. 하나는 8년 만에 문을 닫는다"고 밝혔다. 

 

이어 정준하는 "코로나 때부터니까 거기서 많이 날렸다. 내일 마지막으로 의미 있게 장사하려고 한다"고 폐업 소식을 전했다. 정준하는 매출과 관련, "평일은 한 1000만 원 팔고, 주말에는 1500만~2000만 원 팔고 있다. 월세가 부가세 포함해서 3200만 원이다. 월세가 높다, 직원은 아르바이트 포함해 20명이 넘는다, 지난달 직원 말고 아르바이트생 인건비만 4500만 원 나갔다"고 밝혔다. 

 

그는 "월세, 재료비, 관리비 내도 남긴 남는다, 그런데 원재료가 비싸다, 횟값이 80% 올랐다, 동업이라서 떼면 많이 안 남는다. 허탈감만 제일 많이 남는다"고 전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서울창업허브 공덕X스케일업센터, 투자 유치 지원 사업 성료
[메가경제=정호 기자] ‘서울창업허브 공덕과 스케일업센터’(이하 서울창업허브)는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를 지원하는 ‘제3회 스케일업위크’를 11개 참여기업과 함께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23일 밝혔다. 20일 ~ 22일 3일 간 열린 ‘서울창업허브 스케일업위크’는 보육기업의 투자 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서울창업허브 스케일업센터 멤버십(VC, AC, 투자 유관기관

2

이디야커피,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
[메가경제=정호 기자] 이디야커피가 글로벌 관광객의 결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위챗페이(WechatPay), 알리페이플러스(Alipay+), 유니온페이(UnionPay), 라인페이(Line Pay) 4종의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를 전국 가맹점에 도입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는 이날 순차 적용되며, 외국인 관광객들은 본인 국가에서 사

3

롯데중앙연구소 주니어보드, 서진학교 나눔마켓 수익금 전액 기부
[메가경제=정호 기자] 롯데중앙연구소는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특수학교인 서울서진학교에 주니어보드가 자발적으로 기획한 나눔마켓의 수익금 전액을 전달하고, 서진학교 재학 아동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냠냠연구소’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롯데중앙연구소 주니어보드는 MZ세대 직원으로 구성됐으며 사내 기업문화 혁신과제 도출 및 실행과 경영진과 직원 간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