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박투어3' 김대희 "아내 승무원 시절, 나이트에서 회식에 몰래 따라가"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0-12 09:15:14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독박투어3’의 김대희가 승무원 출신인 아내와의 연애시절 흑역사(?)를 셀프 폭로한다.

 

▲'독박투어3' 출연진이 대만 가오슝을 찾아 '행운의 상징'인 바다거북이를 보러 소류구 섬을 방문한다. [사진='독박투어3']

 

12일(오늘) 저녁 8시 20분 방송하는 ‘니돈내산 독박투어3’(채널S, SK브로드밴드, K·star, AXN 공동 제작) 8회에서는 대만 가오슝으로 떠난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가 ‘행운의 상징’인 바다거북이를 보러가기 위해 ‘소류구 섬’으로 이동하는 가운데, ‘독박즈’의 시그니처인 ‘와이프&여친 문자 게임’에 과몰입해 서로를 디스하는 대환장 모먼트가 펼쳐진다. 

 

이날 ‘독박즈’는 홍인규의 강력 추천으로 대만에서 장수의 상징으로 유명하다는 바다거북이들이 사는 곳으로 향한다. 이들은 페리를 타고 ‘소류구 섬’으로 가야 한다는 설명에 페리 터미널까지 택시를 타고 이동하는데, 차 안에서 갑자기 추억의 ‘나이트 썰’을 나누면서 자폭과 디스 발언을 감행한다. 우선 김대희는 “과거 승무원이던 아내와 연애하던 시절에, 아내가 팀 회식을 나이트에서 한다고 해서 찾아간 적이 있다. (부킹을 못 하게) 옆에 앉아있었다”라고 셀프 폭로한다. 이에 김준호는 “대단하다”라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든 뒤, “만약에 (대희) 형이 그 자리에 없었고, 형 와이프가 우리 ‘독박즈’ 중 부킹을 한다면 어땠을 것 같냐?”라고 돌발 질문을 한다. 김대희는 갑자기 영감을 받은 듯, “우리 이걸로 ‘와이프 문자 게임’ 해서 ‘교통비 독박자’를 정하자”라고 제안한다. 

 

직후 ‘독박즈’는 각자의 와이프와 여친에게 “만약 나이트에서 부킹을 한다면 나 빼고 누구와 하고 싶어?”라는 질문을 문자 메시지로 전송한다. 그러면서 “표를 가장 적게 받는 ‘무매력남’이 독박자가 되자”고 합의하는데, 이때 유세윤은 “난 대희 형과 부킹하면 제일 안심이 될 것 같다”고 말한다. 그는 “아마 우리 와이프와 서로 하는 말을 못 알아들을 것 같다”라고 설명해 모두를 폭소케 한다. 홍인규는 “우리 와이프는 결벽증 있어서 아마 준호 형을 싫어할 듯”이라며 예상하고, 김준호는 “나이트 갈 때는 씻고 가지!”라고 발끈한 뒤, “난 장동민이면 무조건 안심된다. (김)지민이는 못 생긴 사람을 싫어하거든~”이라고 해 장동민을 어질어질하게 만든다. 과연 ‘독박즈’의 아내, 여자친구들이 뽑은 ‘부킹하고 싶은’ 매력남과, ‘절대 안심되는’ 무매력남이 누구일지에 관심이 쏠린다.

 

대만 가오슝으로 떠난 ‘독박즈’의 대환장 여행기는 12일(오늘) 저녁 8시 20분 방송하는 ‘니돈내산 독박투어3’ 8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독박투어3’는 채널S, K·star, AXN에서 동시에 방송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