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드래곤, ‘K-브랜드지수’ 보이 그룹 개인 부문 2개월 연속 1위…뷔·지민·차은우 뒤이어

양대선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8 10:52:46
  • -
  • +
  • 인쇄
▲ ( 보도사진 = ‘K-브랜드지수’ 이미지 )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보이 그룹 개인 부문 1위에 빅뱅 지드래곤이 선정됐다고 18일 발표했다.


국가대표 브랜드를 표방하는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기존의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과 달리 후보 표본 추출부터 인덱스 선별까지 분야별 자문위원단의 검증을 토대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 K-브랜드지수 보이 그룹 개인 부문은 주요 포털사이트 검색량 상위 주요 보이 그룹 개인을 대상으로, 2025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온라인 빅데이터 2억 5626만 3540건을 분석해 진행됐다.

K-브랜드지수 보이 그룹 개인 부문은 빅뱅 지드래곤이 1위를 수성한 가운데, 방탄소년단 뷔(2위), 방탄소년단 지민(3위), 아스트로 차은우(4위), 방탄소년단 정국(5위), 방탄소년단 제이홉(6위), 라이즈 원빈(7위), 샤이니 민호(8위), 세븐틴 호시(9위), 엑소 백현(10위) 등이 TOP10의 영예를 안았다.
 

▲ ( 보도사진 = ‘K-브랜드지수’ 이미지 )

아시아브랜드연구소 류원선 리서치센터장은 “K-컬쳐를 상징하는 보이 그룹 개인 브랜드 가치는 단순히 음악 활동이나 팬덤 규모를 넘어 광고·패션·환경 캠페인에서의 활용 영역과 직결되고 있다. 최근의 순위 변화는 개인 아티스트가 가진 글로벌 인지도와 협업 시너지에 따라 브랜드 밸류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분석했다.

덧붙여 “K-브랜드지수 보이 그룹 개인 부문에서는 지드래곤이 또 다시 1위에 등극하며 글로벌 아티스트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구축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지드래곤은 세계 평화의 날에 맞춰 제작하는 ‘818 BLOOM’으로 인해 격이 다른 존재감을 입증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K-팝 스타의 공익적 메시지가 어떻게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K-브랜드지수는 해당 부문별 트렌드(Trend)·미디어(Media)·소셜(Social)·긍정(Positive)·부정(Negative)·활성화(TA)·커뮤니티(Community) 인덱스 등의 가중치 배제 기준을 적용한 합산 수치로 산출된다.

한편 2016년에 설립된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매년 주요 기업과 개인에 대한 빅데이터 평가 수치를 토대로 ‘대한민국 K브랜드대상’을 시상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일지 작 연극 '진술', 19년 만의 귀환
[메가경제=김진오 기자] 2001년 초연 이후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하일지 작 연극 '진술'이 19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오른다. 2006년 강신일 배우와 박광정 연출의 버전 이후, 이번에는 배우 김진근과 연출 김종희의 만남으로 새롭게 부활한다. 극단 씨어터판(Theatre Pan)이 제작하며, 오는 11월 26일부터 12월 7일 까지 대학로

2

에어프레미아, 신입 승무원 첫 나눔으로 따뜻한 비행 시작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에어프레미아의 신입 객실승무원들이 첫 공식 활동으로 보육원 봉사에 나서며 따뜻한 비행의 첫걸음을 시작했다. 에어프레미아는 최근 서울 강서구 소재 ‘지온보육원’에서 신입 객실승무원 약 23명이 참여한 가운데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이번 활동은 다가오는 겨울을 앞두고 선풍기 청소, 놀이물품 세척, 창틀 청소 등 아이들이 생활하는 공간을 쾌

3

강원랜드, 세계 최초 AI 기반 ‘카운트룸 자동화 로봇시스템’ 본격 가동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대표이사직무대행 최철규)는 지난 9월부터 세계 최초로 AI와 로봇 기술을 결합한 ‘카지노 카운트룸 자동화 로봇시스템’을 도입해 2개월의 안정화 과정을 거쳐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7일 밝혔다.이번 시스템은 슬롯머신과 게임 테이블에서 수거된 현금을 로봇이 자동 회수해 이송·계수·검사·포장까지 수행하는 첨단 설비다. 이를 통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