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이자 못 받은 '깡통 대출' 급증…건설업 불황 영향

문혜원 / 기사승인 : 2024-04-21 09:18:37
  • -
  • +
  • 인쇄
무수익 여신 26% 증가…"대손충당금 대비 필요"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은행에서 돈을 빌려주고도 이자를 받지 못한 '깡통 대출'이 급증하고 있다. 건설·부동산업을 중심으로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이에 따른 은행의 손실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 은행에서 대출해주고 돌려받지 못하는 돈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건설 및 부동산업 불황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21일 은행연합회 경영공시에 따르면, 5대(KB·신한·하나·우리·농협) 시중은행의 지난해 무수익여신이 증가했다. 무수익여신은 은행이 원금은 물론 이자조차 받지 못하는 이른바 ‘깡통 대출’을 말한다. 지난해 말 기준 3조5207억원이다. 지난 2022년 대비 26.2%가 증가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신한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은행은 모두 무수익여신이 전년 대비 크게 늘었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말 7498억원으로 전년 대비 43.6%, NH농협은행은 5130억원에서 7682억원으로 49.7% 늘었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전년 대비 33.1%, 12.5%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신한은행은 무수익여신이 6327억원에서 6060억원으로 4.2% 줄었다. 

 

이러한 무수익여신 급증에 따라 업계에서는 건설·부동산 업체들의 부도·채무 불이행이 원인으로 지목했다. 건설·부동산 대출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중은행 별 공개한 '거액 무수익여신 증가업체 현황'을 살펴보면, 5대 은행에서 무수익여신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대출자는 예외없이 건설·부동산 업체였다. 

 

당분간 건설·부동산 업체와 관련된 무수익여신 증가는 지속될 것이라는 게 은행권 전망이다. 

 

한 은행권 한 관계자는 "앞으로 고금리와 공사비 상승 등 비용 증가로 건설·부동산업의 재무 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면서 "대손충당금을 확대해 위험 관리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혜원
문혜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