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뚫고 작년 경상흑자 2년만 최대…753억달러·전년보다 26%↑

최낙형 / 기사승인 : 2021-02-05 10:51:09
  • -
  • +
  • 인쇄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줄며 상품수지 개선
코로나에 하늘길 막혀 서비스수지 적자폭도 줄어
12월 경상흑자 115억달러…8개월 연속 흑자
기재차관 "작년 경상흑자, 코로나 위기속 이룬 쾌거"

[메가경제=최낙형 기자]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지난해 경상수지 흑자가 752억8000만달러를 기록해 전년보다 156억달러, 26% 가량 신장됐다. 지난 2018년 774억달러6650만달러 이후 2년 만에 최대 규모 흑자다.

코로나19 여파로 작년 연간 수출은 줄었지만 수입과 해외여행이 더 큰 폭으로 급감해 더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
 

▲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20년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경상수지 흑자는 752억80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19년 596억8000만달러보다 26.14%(156억달러) 많은 규모다.

구체적으로 상품 수출입 차이인 상품수지는 819억5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21억4000만달러 가량 확대됐다.

코로나19 때문에 수출은 2019년보다 7.2% 감소한 5166억달러를 기록했다. 통관수출을 보면 석유제품(-40.3%), 승용차(-11.9%), 철강(-10.3%) 등의 수출이 감소한 반면 정보통신기기(13.0%)와 반도체(5.4%) 수출은 늘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생산차질, 수요감소 등의 영향으로 수출이 든 것으로 한은은 해석했다.

하지만 원유등 원자재 수입가격 하락으로 수입은 8.8% 줄어든 4346억6000만달러를 기록해 수출보다 수입 감소폭이 더 컸다. 코로나 충격에 글로벌 수요가 줄면서 국제유가가 하락하자 원자재 수입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통관수입을 살펴보면 원자재 수입이 18.8% 감소한 반면 자본재(7.4%) 수입은 반도체제조용장비를 중심으로 늘어난데다 소비재(-0.4%) 수입도 줄지 않았다.

서비스수지는 여전히 161억9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여행·운송수지 개선과 함께 적자폭이 1년 새 106억6000만달러 줄었다.

코로나19로 국가간 이동제한으로 출입국자가 동반 감소한 가운데 여행지급이 여행수입보다 큰 폭으로 감소 한데 따른 것이다. 1~11월 누적기준 출국자수는 420만명으로 전년 대비 84.1% 감소해 여행수지 적자는 56억3000만달러에 그쳤다. 2019년 여행수지 적자는 118억7000만달러였다.

임금·배당·이자 등의 흐름과 관계있는 본원소득수지는 120억5000만달러로 2019년보다 8억1000만달러 감소했고,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지난해 771억2000만달러 증가했다.

작년 코로나19 충격에 전 세계가 돈을 풀면서 증시가 호조세를 보이자, 서학개미(해외주식을 사들이는 내국인 개인투자자)들이 급증하면서 연간 내국인 해외주식투자는 역대 최대규모(563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


▲ [도표=한국은행 제공]

반면 외국인들의 국내주식투자는 158억 감소했고, 외국인들의 국내채권투자는 328억5000만달러로 역대 2위였다.

12월만 놓고 보면, 경상수지는 115억1000만달러(약 12조8천739억원) 흑자였다. 지난해 5월 이후 8개월 연속 흑자일 뿐 아니라 2019년 12월의 약 2.5배 규모다.

상품수지 흑자가 105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49억달러 증가했다. 수출(525억9000만달러)은 1년 전보다 10.3% 늘어난 반면 수입(420억9000만달러)은 거의 같은 수준이었다.

12월 서비스수지 적자 규모(5억3000만달러)는 1년 전보다 20억7000만달러 줄었다.

특히 여행수지 적자(5억8000만달러)가 5억7000만달러나 축소됐다. 해외 출국자 수가 2019년 12월과 비교해 96% 급감했기 때문이다.

본원소득수지 흑자(21억9000만달러)는 배당소득 감소 등으로 1년 전보다 3억7000만달러 감소했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12월 중 85억달러 늘었는데,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49억7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가 25억달러 증가했다.

이날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지난해 경상흑자에 대해 "코로나 위기 속에서 이룬 또 하나의 쾌거"라고 평가했다.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를 열고 "통계 작성 이래 6번째 수준의 흑자 달성"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주요국과 비교해도 크게 선방했다"면서 "전대미문의 위기 속에서 상품·서비스 등의 대외경쟁력이 우리 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톡톡히 한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낙형
최낙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컴투스, 3Q 매출 1601억 기록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올 3분기에 매출 1601억원, 영업손실 194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RPG, 스포츠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들을 토대로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9% 증가한 5129억 원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 9월 말 신작 출시를 앞두고 진행된 사전 마케팅 비용 등의 영향으로 3분기 영업이익은 감

2

에이에스이티-포엠일렉트로옵틱, 이차전지용 부품 베트남 수출 '업무협약'
[메가경제=정호 기자] 차세대 이차전지용 전고체전해질막 전문기업 에이에스이티가 본격적으로 베트남에 진출한다. 에이에스이티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포엠일렉트로옵틱 비나(4M Electro Optics Vina)와 전고체전해질막 제품의 현지 진출 및 전동화 산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협약식은 양사 주요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

3

NH농협은행, '올원×페이스페이' 경품 이벤트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오는 30일까지 NH올원뱅크에서 '올원뱅크+토스 페이스페이=?'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올원×페이스페이'는 얼굴과 결제수단을 미리 등록하면, 실물카드나 휴대폰 없이도 얼굴 인식만으로 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한 간편 결제 서비스다. 이번 이벤트는 신규로 가입하고 결제 수단을 NH농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