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바이오파마, IPO 공동주관사에 미래에셋증권‧대신증권 선정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10-14 11:41:41
  • -
  • +
  • 인쇄
내년 4분기 상장 목표, 고덕비즈밸리에 신사옥 건설 중

보령바이오파마가 미래에셋증권과 대신증권을 IPO 공동대표 주관회사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상장 준비에 들어갔다고 14일 밝혔다.
 

보령바이오파마는 최근 국제회계기준(IFRS)을 도입해 내부회계관리제도 시행 등 내부 조직을 정비하고, 지정감사인 신청을 완료해 기업 공개를 위한 사전 준비도 마쳤다고 전했다. 내년 상반기 중 상장예비심사청구를 거쳐 4분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보령바이오파마 CI]

 

보령바이오파마는 1991년 설립돼 백신 개발·제조, 전문의약품 판매, 유전체 검사, 제대혈 은행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다.

백신 시장 확대에 따라 지난해 매출액 1154억 원을 달성해 처음으로 매출 1000억 원을 넘어섰다.

지난 2014년 세포배양 일본뇌염백신, 지난해 DTaP-IPV(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소아마비 예방), 올해 A형간염백신 등 그동안 수입 완제품에 의존했던 품목들의 국내 제조에 성공했다.

우리나라는 정부의 백신 자급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가예방접종 백신 22종 가운데 절반 가까운 10종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보령바이오파마는 앞으로도 자체 생산 품목을 확대해 국가필수예방접종(NIP) 품목의 안정적 공급과 전략 제품 수출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한편 지난달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주도로 아이진·큐라티스‧진원생명과학 등 국내 백신 개발사 3곳과 코로나19 mRNA백신 컨소시엄을 구성해 백신 대량 생산을 위한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  보령바이오파마 진천공장 전경 [사진=보령바이오파마 제공]

 

보령바이오파마는 IPO를 통해 모집하는 공모 자금으로 고부가가치 백신 임상 확대와 mRNA 원천기술확보, 면역세포치료제 연구 등 미래성장동력을 위한 핵심 R&D 역량 강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현재 연구개발 환경 개선과 업무 효율화를 위해 서울 강동구 고덕비즈밸리에 사옥을 건설하고 있다.

성주완 미래에셋증권 IPO본부장(상무)은 “국내외적으로 백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우수한 제조 역량을 가진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태“라며 “보령바이오파마가 투자자들에게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나유석 대신증권 IPO총괄(상무) “보령바이오파마는 국내 기업 가운데 NIP 공급 품목이 가장 많고 일찍이 첨단 생산 시설을 갖춰 독보적 경쟁력을 갖췄다“며 “유니크한 사업모델을 바탕으로 회사 측과의 긴밀한 협조 속에 새로운 상장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전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지드래곤의 한정판 블록 꽃 ‘818 BLOOM’, 공식 글로벌 사이트 동시 오픈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글로벌 아티스트 지드래곤(G-DRAGON)이 한정판 블록 꽃 ‘818 BLOOM’으로 전 세계에 평화의 메시지를 전한다. 엠트리아이앤씨는 옥스퍼드(OXFORD)와 피스마이너스원(PEACEMINUSONE) 협업으로 제작한 ‘818 BLOOM’의 공식 글로벌 사이트를 해외 주요 국가에서 동시 오픈한다고 16일 밝혔다. 특히 ‘818

2

예스골프, 파크골프채 ‘마에스트로’ 출시…초경량 카본 샤프트-인체공학적 그립 적용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예스골프가 프리미엄 파크골프채 ‘마에스트로(MAESTRO)’를 공식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마에스트로’는 예스골프의 골프 클럽 제작 노하우를 집약한 제품으로, 519g의 초경량 카본 샤프트를 적용해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가벼운 스윙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경량화와 함께 성능도 놓치지 않았다. 헤드에 집중된 무게중심 설

3

뉴비즈원, '현장관리 전문팀' 신설… "차별화된 전문가 투입으로 아웃소싱 경쟁력 강화"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리테일 아웃소싱 전문기업 ㈜뉴비즈원이 자사 아웃소싱사업본부 내에 '현장관리 전문팀'을 신설하고, 대기업 리테일 현장 전문가를 영업부문에 영입하는 등 조직 개편을 통해 현장 중심의 전문 인력 관리 시스템을 대폭 강화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급변하는 리테일 시장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고객사에 한 차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