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증권, MTS 종목 정보 화면 개편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6 11:41:59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카카오페이증권은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의 종목 정보 화면을 대폭 개편했다고 26일 밝혔다.

 

각 종목의 거래 관련 정보와 현황, 실시간 이슈까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개선해 사용자들이 투자 정보와 주식 거래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데 중점을 뒀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사진=카카오페이증권]

 

먼저 기존에 제공하던 종목 관련 정보에 호가 현황, 실적, 배당 정보, 거래원 등 투자 고민을 도울 신규 정보 섹션을 추가했다. 또 이들 섹션을 정보 탭 아래로 모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게 했다.

 

차트 화면에도 변화를 줬다. 기간별 차트에 캔들차트를 추가해 기존의 라인차트와 간편하게 오가며 살펴볼 수 있게 하는 등 차트 정보의 활용성을 높였다.

 

새로 추가된 '호가 현황' 섹션은 국내주식의 구매와 판매 각각 10호가의 누적 잔량을 막대그 래프로 시각화해 보여준다. 호가 별 잔량을 한눈에 파악하는 것은 물론 현재 매매가 가장 많은 호가까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차별화했다.

 

거래 관련 실시간 이슈는 '지금 이슈' 섹션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상한가, 하한가를 달성하거나 최저가, 최고가를 경신하는 등 가격에 관한 중요한 사항이 발생했을 때 소식을 알려 사용자들이 투자 적기를 포착하는데 도움을 준다.

 

종목의 수익성을 가늠하기 위한 정보 화면도 다듬었다. 실적 섹션에서는 기업이 발표한 실적 수치를 애널리스트 예상치와 비교해 분석해주고, 배당 섹션에서는 최근 5년간의 배당 성향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한다.

 

이 외에도 거래량, 시가총액, 주가수익비율(PER) 등 해당 종목의 거래현황에 대한 핵심정보를 제공하는 간편 요약 섹션, 해당 종목의 기업 정보와 상장지수펀드(ETF) 관련 기초 정보를 보여주는 개요 섹션도 다른 정보와 한 화면에서 볼 수 있게 새로 구성했다.

 

새로운 종목 정보 화면은 카카오페이앱 최신 버전(3.2.10)의 주식 탭에서 원하는 종목을 선택한 후 정보 탭을 눌러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앱의 최신 버전은 일부 사용자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다.

 

카카오페이증권 관계자는 "기존 종목 정보의 가시성을 높이고 새로운 기능을 더하는 한편 단일 메뉴 아래 한데 모아 배치해 다양한 투자정보를 입체적으로 조합할 수 있게 구성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