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동차공학회, '2024 추계학술대회 및 전시회' 성료

이동훈 / 기사승인 : 2024-11-26 12:25:45
  • -
  • +
  • 인쇄
자동차공학인 3000여 명 참석 및 논문 1300여 편 발표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우리나라 자동차공학을 대표하는 비영리 학술기관인 한국자동차공학회(회장 : 전병욱 현대자동차 연구위원)가 지난 20일부터 제주 신화월드에서 개최한 ‘2024 한국자동차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전시회’를 성료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자동차공학회는 자동차에 관련된 기술 동향과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만들기 위해 매년 춘·추계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 추계학술대회에는 학계, 산업계, 연구기관 등 자동차공학인 3,00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는 산·학·연을 망라한 자동차공학 전 분야의 연구결과 논문 1,300여 편이 발표되며 활발한 학술적 교류가 이루어졌다. 


학회 내 위원회 세션 역시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전기차화재대응기술산학위원회 세션에서는 산·학·연의 전문가들이 모여 지난 1년간의 연구 진행 결과를 발표하는 등 전기차 화재대응 기술의 발전 방향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미래위원회 세션은 소프트웨어 기반 자동차(SDV), 자율주행 자동차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가 진행됐다.

산업계에서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이끌어가는 자동차공학인들의 특별 강연도 이어졌다. ‘자동차 반도체의 도전과제와 기회’에 대해 발표한 삼성전자 이해창 부사장은 “모빌리티의 전동화, 자동화 기술의 발전이 캐즘으로 인해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며, “정부, 완성차 업체, 반도체 업계, 학계가 힘을 모아 모빌리티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고, 고객 가치를 키워 ‘모빌리티 혁명’을 이끌어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미래 세대를 위한 추진 시스템 로드맵’을 주제로 강연한 현대자동차 한동희 전무는 “전기차의 가장 큰 장점은 출력을 내는 효율이 좋고, 다른 기술과 융합에 유용하며, 확장성이 좋다는 것”이라며,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자동차,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등 전기차의 장점을 활용한 추진 시스템을 활용해야 하며, 이를 구현할 엔지니어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자동차공학인들의 역할을 강조했다.

한국자동차공학회 관계자는 “이번 추계학술대회 및 전시회는 산·학·연의 전문가들이 모여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보다 폭넓은 논의를 진행했다”며, “한국자동차공학회는 모빌리티 한국이 모빌리티 발전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연구지원 및 대외 교류 확대로 자동차공학의 저변을 넓히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1978년 설립된 한국자동차공학회는 현재 개인회원 46,000여명과 완성차 5사를 포함한 760여사의 기업과 연구소, 도서관 등 법인 및 단체회원이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SCIE 등재지인 IJAT와 SCOPUS 등재지인 국문논문집 등을 통해 연간 230여편의 자동차 분야의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또한, 국제학술대회 유치 및 개최, 자동차 기술 전시회, 자동차 관련 기술 교육, 자동차 표준화에서 대학생자작자동차대회까지 한국의 자동차 공학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한국자동차공학회는 자동차 분야 전문가들의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발표하고, 자동차 관련 최신 정보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1986년부터 매년 춘·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