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넥트브릭, '콘텐츠 코리아' 참가...맞춤형 AI 이미지 생성 솔루션 체험 제공

양대선 기자 / 기사승인 : 2024-10-21 14:18:24
  • -
  • +
  • 인쇄
SaaS 솔루션 전시, 고객사 전용 학습 기반 최적화 이미지 제공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한국콘텐츠진흥원 뉴콘텐츠기업지원센터의 멤버십 기업인 ㈜커넥트브릭이 오는 10월 23일부터 25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콘텐츠 코리아 2024(CONTENTS KOREA 2024)’에 참가해 맞춤형 AI 이미지 생성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미지=커넥트브릭

 

커넥트브릭은 고객사 맞춤형 AI 이미지 생성 솔루션을 제공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전문 기업으로 고객사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하는 전용 AI 모델을 개발해 고객 요구에 최적화된 이미지 생성 서비스를 하고 있다. 고객사 맞춤 데이터학습을 위한 커스터마이징 기술을 적용해 기존 AI 모델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고화질 이미지를 생성해 시간 및 비용 절감으로 경쟁력을 확보했다.

이번 박람회에서 ㈜커넥트브릭은 참관객 대상 맞춤형 AI 이미지 생성 서비스를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특히 이미지가 많이 활용되는 광고, 마케팅, 커머스, 게임, 건축, 건설 등의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AI 생성 서비스를 체험해 볼 수 있으며, 기업 데이터를 학습한 맞춤형 컨트롤러의 데모 서비스와 맞춤형 PoC 등 도입 프로세스도 시연될 예정이다.

장홍석 커넥트브릭의 대표는 "그동안 고품질 AI 이미지 생성 기술 개발과 검증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 왔다”며 “박람회 현장에서 QR코드로 개인이나 가족, 반려동물의 사진을 AI 캐릭터로 변환해 사진을 출력하거나 이메일로 제공하는 이벤트를 마련했다. AI와 신기술에 관심있는 참관객들이 자사의 서비스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고 전했다.

커넥트브릭이 참여하는 ‘콘텐츠 코리아 2024’는 콘텐츠 IP의 활용과 2차 산업화의 신시장 개척을 목표로 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콘텐츠 산업 박람회다. 콘텐츠 기업들의 실질적인 콘텐츠 비즈니스 판로 개척과 해외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 발굴을 주제로, 콘텐츠 제작과 활용에 중점을 둔 융합 서비스 개발과 유관 종사자들의 사업 확장을 지원한다.

현재 커넥트브릭이 멤버십 기업으로 지원받는 뉴콘텐츠기업지원센터는 신기술 융합콘텐츠 분야 기업의 성장을 위한 입주 공간 지원, 제작시설 이용,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