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연속 CES 빛낸 서울시 캠퍼스타운…역대 최다 혁신상 7개 수상

정진성 기자 / 기사승인 : 2025-01-09 11:15:31
  • -
  • +
  • 인쇄
대학창업 돕는 ‘캠퍼스타운’ 사업 통해 성장한 기업 7개사 글로벌 시장 기술력 입증
로봇, 약자 보호 등 다양한 기술 선보여…수상기업 모두 AI 기반 국제 흐름에 발맞춰

[메가경제=정진성 기자] 서울시는 캠퍼스타운 성장기업 7개사가 이달 7일(화)부터 진행 중인 CES 2025에서 로보틱스, 디지털헬스, 스마트시티 등 부문의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수상기업 3개사에서 2배 이상 늘어난 규모로, 캠퍼스타운 소속 혁신상 수상기업을 4년 연속으로 배출한 역대급 성과다.

 

▲ 혁신상 수상기업 제품. [사진=서울시]

  

특히, 올해는 혁신상을 수상한 7개사 모두 AI 기반의 기술을 선보였다는 점이 돋보인다. 캠퍼스타운 성장기업들이 급변하는 AI 산업 흐름에 발맞춰, 각 산업 분야의 기존 영역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킨 새로운 가능성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기술 경쟁력을 보여주는 방증이다.

 

혁신상 수상기업은 ▲휴로틱스(중앙대) ▲메타파머스(서울대) ▲유니유니(이화여대) ▲써모아이(중앙대) ▲카멜로테크(캠퍼스타운 기업성장센터) ▲맵시(서울대) ▲슈팹(이화여대) 등 7개사다. 이중 재활치료 웨어러블 로봇을 출품한 ‘휴로틱스’의 경우 로보틱스(Robotics) 부문과 고령화&접근성(Accessibility&AgeTech) 부문에서 혁신상을 동시에 받았다.

 

이들 기업은 캠퍼스타운 사업을 통해 입주공간, 멘토링, 투자유치 등 창업기업에 다양한 프로그램과 인프라를 지원받았다. 시는 더 많은 캠퍼스타운 성장기업들이 CES와 같은 세계 무대에 진출할 수 있도록 글로벌 창업 경진대회, 글로벌 진출 지원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원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올해부터 본격 시행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라이즈(RISE)’ 사업의 R&D, 인재 육성 분야와도 연계해 시너지를 창출하고, 각 대학의 창업 친화적인 학사제도 확대 도입과 창업 교과·비교과 강의 개설 등 학업과 창업의 연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캠퍼스타운 성장기업의 CES 혁신상 수상이 매년 늘어나고 있는 것은 대학 중심의 서울시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진성 기자
정진성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