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당선인, 농림 정황근·노동 이정식 장관 후보자 지명...18개 부처 인선 마무리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2-04-14 15:30:04
  • -
  • +
  • 인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14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 정황근 전 농촌진흥청장, 고용노동부 장관에 이정식 전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을 각각 지명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 2시 서울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이 같은 내용의 2개 부처 장관 인선안을 발표했다.

이로써 18개 부처 인선 발표가 마무리됐다.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오른쪽)이 14일 서울 통의동 인수위에서 고용노동부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를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정식 노동부 장관 후보자,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 후보자,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인수위사진기자단=연합뉴스]

윤 당선인은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농식품부의 요직을 두루 거친 정통 관료 출신으로 농촌정책국장, 농업정책국장, 청와대 농축산식품비서관을 지내며 농업정책 전반을 설계하신 분”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농촌진흥청장 재직 시절에는 기후변화와 농촌 인구 고령화라는 농업 여건의 변화를 고려해 첨단 융복합기술 기반의 생산성 증대, 스마트 농법 전환을 위해 헌신했다”며 “농촌이 직면한 현안 해결은 물론이고 농림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미래 성장 산업으로 키워낼 적임자”라고 말했다.

▲ 고용노동부 장관에 내정된 이정식 전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왼쪽)과 정황근 전 농촌진흥청장. [당선인 대변인실 제공=연합뉴스]

이정식 고용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선 “30여년 간 노동계에 몸담으며 한국노총 기획조정국장과 사무처장을 지낸 노동분야 전문가”라며 “노사관계개혁위원회와 노사정위원회의 전문위원을 역임했고 노사발전 창립 이래 노동계 출신으로는 최초로 사무총장을 지냈다”고 말했다.

이어 “노사 관계를 합리적으로 접근하는 전문가로 평가받는다”며 “노동 현장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노동의 가치가 제대로 존중받고 합리적 노사관계 정립의 밑그림을 그려낼 적임자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 고용노동부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 이력. [그래픽=연합뉴스]

윤 당선인은 이로써 국무총리와 18개 부처 장관 등 새 정부의 초대 내각 진용 인선을 모두 끝냈다. 

지난 3일 초대 국무총리에 한덕수 전 총리를 지명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 10일엔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에 추경호, 국토교통부에 원희룡 등 8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발표했고, 13일에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에 김인철, 법무부 장관에 한동훈 등 8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발탁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