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약품 생산 32조9000억 원 돌파…사상 최대치 경신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06-30 15:38:25
  • -
  • +
  • 인쇄
셀트리온 2조 5267억 생산 1위…수출 28%↑
수출 증가로 3년 만에 무역수지 흑자 전환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2024년 국내 의약품 생산이 전년 대비 7.3% 증가한 32조 8629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같은 해 의약품 수출은 28.2% 늘어난 12조 6749억원으로 집계되며 3년 만에 무역수지가 흑자로 돌아섰다.


의약품 시장 규모는 31조 6,965억원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했다. 수출 확대의 영향으로 내수 중심 구조에서 점차 벗어나는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 국내 의약품 생산 32.9조 돌파

■ 바이오의약품 6조원 첫 진입…유전자재조합 수출 급증

바이오의약품 생산은 6조 3125억원으로 전년 대비 26.4% 증가했다. 특히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은 생산량의 58.1%를 차지하며 42.7% 증가했고, 수출은 28억 달러를 넘어서며 61.7% 급증했다.

수출 대상국 중 헝가리는 12억 3,346만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유럽 시장 확장의 거점 역할을 수행 중이다.

■ 완제·원료의약품 동반 성장…일반의약품 생산 10% 가까이 늘어


완제의약품과 원료의약품 생산이 각각 5.9%, 16.8% 증가했다. 일반의약품은 전년 대비 9.9% 증가해 전문의약품(5.3%)보다 빠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생산실적 1위 기업은 셀트리온으로, 전년 대비 62.5% 증가한 2조 5267억원을 기록하며 2년 연속 선두를 지켰다. 수입 1위는 한국화이자제약으로,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수입 확대에 따라 6700억원을 기록했다.

■ 의약외품 시장은 감소세…방역용품 제외 시 소폭 증가


의약외품 전체 시장 규모는 1조 7544억원으로 전년보다 다소 줄었다. 이는 코로나19 엔데믹으로 마스크 등 방역용품 수요가 감소한 영향이다. 다만 방역용품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군은 소폭 증가세를 이어갔다.

주요 품목으로는 자양강장변질제, 치약제, 생리용품 등이 꼽히며, 동아제약이 2년 연속 생산실적 1위 기업에 올랐다. 의약외품 수출은 전년 대비 23.6% 증가한 8206만 달러로,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식약처는 “이번 통계는 국내 제약산업의 성장성과 경쟁력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R&D 투자와 수출 전략 등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