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면세점, ‘DANCE THROUGH GOLDEN DAYS’ 프로모션 진행

심영범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5 16:10:21
  • -
  • +
  • 인쇄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면세점이 추석 및 가을 시즌을 맞아 오는 10월 16일까지 ‘DANCE THROUGH GOLDEN DAYS’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

 

먼저, 온라인몰과 모든 오프라인 매장에서 열리는 특별 기획전에서는 소중한 가족 선물로 적합한 다양한 브랜드 제품들을 최대 60% 할인가에 선보인다. 최근 아르헨티나 니치 향수로 주목받고 있는 푸에기아1833(FUEGUIA 1833)를 비롯해 인기 뷰티 브랜드 크리니크(CLINIQUE), 더후(THE WHOO), 닥터지(Dr.G), 그 외 스테디셀러 오설록(OSULLOC), 글렌알라키(GLENALLACHIE), 캠퍼(CAMPER) 등이 참여한다.

 

▲ [사진=신세계면세점]

 

같은 기간 온라인몰에서 진행되는 ‘황금연휴 특가전’에서는 추석 선물 패키지를 최대 60%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 주류, 뷰티 디바이스는 물론, 건조한 가을철 필수 아이템인 스킨케어 제품(크림, 립밤, 수분크림 등)과 럭셔리 제품도 포함된다.

 

‘매주 찾아오는 경품 혜택’ 이벤트를 통해 4주간 매주 1명에게 푸짐한 경품을 증정한다. 캠페인 기간 내 온라인몰에서 10달러 이상 구매고객에게는 최대 32만 원 상당의 오프라인 쇼핑지원금 6종을 제공한다.

 

명동점에서는 내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최대 5만원 상당의 면세포인트를 추가 증정한다. ▲화장품·향수 제품군 구매금액 100달러당 1만 면세포인트 ▲패션브랜드는 150달러당 1만 면세포인트 ▲시계·주얼리 등 럭셔리 패션 제품은 1200달러당 3만 면세포인트가 추가 적립된다. 특히, 화장품·향수를 구매한 고객은 100달러에서 500달러까지 결제 금액대별로 최대 13만7000원 상당의 추가 쇼핑지원금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인천공항 출국 고객들을 위한 특별한 포인트 혜택도 마련했다. 프로모션 기간 동안 인천공항점에서 1달러 이상 구매 후 안내데스크에서 여권을 제시한 고객 전원에게 3000원 상당의 면세포인트를 즉시 제공한다. 

 

10월 1일부터 ‘행운 항공편 추첨 이벤트’를 통해 출국 항공편 번호의 끝자리 숫자가 지정된 번호와 일치하는 고객에게 5천 원의 면세포인트를 증정한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올해도 민족 대명절인 추석을 맞아 고객 여러분이 여행길에서도 다채로운 혜택을 누리실 수 있도록 이번 프로모션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고객 여러분의 특별한 여정마다 최고의 면세 쇼핑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비맥주 카스, 대한축구협회 공식 파트너 계약 체결
[메가경제=정호 기자] 오비맥주의 대표 브랜드 '카스(Cass)'가 대한축구협회(KFA)와 공식 파트너 계약을 체결했다. 15일 오비맥주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카스는 향후 6년간 KFA 공식 주류 파트너 지위를 갖게 된다. 카스는 KFA의 지식재산권(IP) 및 집합적 초상권을 활용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예정된 주요

2

BAT로스만스, 환경 서포터즈 ‘플로깅 히어로즈’ 본격 활동 전개
[메가경제=정호 기자] BAT로스만스의 환경 서포터즈 ‘플로깅 히어로즈’가 자원순환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고 15일 밝혔다. 오는 17일 서울 망원동에서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플로깅'과 '용기내 챌린지'를 결합해, 쓰레기를 줍는 동시에 쓰레기 발생 자체를 줄이는 자원순환 실천형 활동으로 기획됐다. 용

3

국제 e모빌리티엑스포 조직위원회, 2026 e모빌리티 혁신상 공모 개시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국제 e모빌리티 엑스포 조직위원회는 '2026 국제 e모빌리티 혁신상 (IEVE 2026 Innovation Awards)' 공모를 12월 31일까지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혁신상은 전 세계 e모빌리티 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혁신 기술과 제품·서비스를 발굴해 시상하는 프로그램으로, 국내외 기업·기관·개인 누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