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주담대 한도 확대에도 "금리인하 쉽지 않네"

노규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1-08 17:25:38
  • -
  • +
  • 인쇄
금융당국, 3단계 스트레스 DSR 등 가계대출 관리 기조 유지
은행권, 둔촌주공 등 실수요자 지원 명목...금리 차이 이유는

[메가경제=노규호 기자]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등의 한도 확대에도 소비자의 관심인 대출금리는 여전한 상황이다. 작년부터 이어진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영향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금융권에서는 실수요자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한도 확대. [사진= 연합뉴스]

 

8일 금융권과 메가경제 취재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은 올해 대출 전략 키워드로 실수요자 중심 자금 공급과 우량·혁신기업 대출을 꼽았다. 

 

실제로 주요 시중은행은 최근 신규 주담대의 모기지보험(MCI·MCG) 적용을 재개했다. 모기지보험에 가입하면 대출한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1억원으로 제한했던 생활안정자금 목적 주담대 한도도 확대하는 추세다. KB국민은 한도를 폐지했고, 우리·NH농협은 2억원으로 올렸다.

 

인터넷은행도 마찬가지다. 카카오뱅크는 생활안정자금 용도의 주담대 한도를 폐지했고, 케이뱅크는 한도를 기존 1억원에서 10억원으로 확대했다.

 

다만 대출금리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날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혼합·주기형)는 연 3.42~5.92%다. 한달 전(3.35~5.75%)과 비교하면 하단이 0.07%포인트, 상단은 0.17%포인트 오른 것이다.

 

은행별로 보면 ▲KB국민 3.83~5.23 ▲신한 3.97~5.27 ▲하나 4.319~5.819 ▲우리 4.13~5.33 ▲NH농협 3.42~5.92 등이다. 이 기간 신한·하나은행은 금리 상하단을 각각 0.1%포인트, 0.43%포인트씩 올렸다. 농협은행은 하단을 0.07%포인트, 상단을 0.17%포인트 올렸다.

 

은행 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가계대출이 많이 늘어있기에 주담대와 같이 민감한 가계대출 금리를 인하하는 데 시중은행이 나서기 어렵다”며 “대내외 불확실성 속 기준금리 인하 등 상황 변화가 없다면 당분간 금리인하 요인을 찾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도 가계부채 관리 기조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금융위원회는 금일 업무보고를 통해 기존 계획대로 오는 7월에 3단계 스트레스 DSR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스트레스 DSR은 대출 상환 능력을 심사할 때 가산금리를 더해 대출 한도를 줄이는 제도다.

 

지난해 상반기 1단계에선 스트레스 금리를 0.38%만 적용했고 지난해 9월부터는 2단계로 0.75%를 적용하고 있다. 7월부터는 스트레스 금리가 1.5%로 올라간다.

 

이에 은행들은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정책 방향에 따라 갭 투자 등 투기 수요 대출은 억제하고 실수요자 중심의 가계대출 공급 기조를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최근 시중은행은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에 배정한 집단대출(잔금대출) 한도를 늘리는 등 주담대 실수요자 모집 경쟁에 나섰다. 국민은행도 둔촌주공 집단대출에 3000억원을 추가 배정해 총 6000억원 규모로 대출을 시행하기로 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둔촌주공의 대출금리가 4%대에 그치는 등 일반 주담대 고정금리보다 지나치게 낮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최근 둔촌주공의 대출 한도를 확대했지만, 기존 대출금리의 변화는 없다”며 “집단대출 특성상 사업장마다 승인을 받는데 기본적으로 우량하다고 판단되는 매물에 집단대출이 이뤄지기에 금리 체계가 달라지는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노규호 기자
노규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