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새벽배송 금지’ 논의에 대해 한국온라인쇼핑협회가 “소비자 생활 불편과 농어업인·소상공인 피해, 일자리 감소 등 심각한 사회·경제적 부작용이 우려된다”며 강한 우려를 표했다.
협회는 4일 입장문을 통해 “새벽배송은 맞벌이 부부, 1인 가구, 영유아 가정 등 다양한 계층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잡은 생활필수 서비스”라며 “이를 제한하면 소비자 편익이 급격히 저하되고 국민 후생이 악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  | 
| ▲ 온라인쇼핑협회가 새벽배송 금지에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2024 소비자시장평가지표’에서 새벽배송은 71.8점을 기록, 40개 주요 서비스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협회는 “야간 주문 후 아침 수령이라는 새벽배송의 핵심 효용이 사라지면 국민 생활 전반의 편익이 후퇴하게 된다”며 “농촌 및 도서산간 지역에서는 새벽배송이 식품 사막화 완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새벽배송 중단은 농어업인과 중소상공인의 경제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협회는 “신선식품·공산품의 주요 판로인 새벽배송이 막히면 농어업인은 판매 기회 상실과 물류비 증가로, 중소상공인은 판매처 축소와 가격 결정권 약화로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이는 지역경제와 내수시장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택배·물류 종사자 일자리 감소 문제도 거론됐다. 협회는 “야간근무는 강요가 아니라 근로자의 자율적 선택에 기반한 근무형태”라며 “실제 새벽배송 기사들은 교통 혼잡이 적고(36.7%), 수입이 높으며(32.9%), 낮 시간대 활용이 가능하다(20.7%)는 이유로 야간근무를 선호하고 있다”고 전했다.
나아가 협회는 새벽배송 중단이 국가 물류체계 전반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새벽배송은 AI 수요예측, 콜드체인 등 첨단 물류혁신의 대표적 모델”이라며 “이를 중단하면 라스트마일 물류 경쟁력이 약화되고 산업 전반의 비효율이 확대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협회 관계자는 “야간근로는 물류뿐 아니라 보안, 철강, 조선, 운송 등 다양한 산업의 운영을 뒷받침하는 필수 요소”라며 “새벽배송의 일괄적 제한은 국가경제의 근간을 흔드는 조치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