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보험사 부동산PF 대출 크게 증가 24.2%↑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04-02 17:24:24
  • -
  • +
  • 인쇄
총대출 잔액 253조원…전년비 18.3조원 증가
연체율·부실채권비율 감소…코로나 대출 만기연장 영향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지난해 보험회사들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저금리, 저성장 국면에서 자산운용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PF 등 대체투자를 늘리는 전략을 취했기 때문이다.


2일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2020년말 기준 보험회사 대출채권 현황'에 따르면 보험회사 총대출채권 규모는 253조원으로 전년말보다 18조3000억원(7.8%) 늘었다. 

가계대출 규모는 123조1000억원으로 전년말보다 2조원(1.7%) 증가했는데 주택담보대출(47조2000억원)이 3조2000억원 늘어난 영향이 컸다. 신용대출(63조5000억원)과 보험계약대출(63조5000억원)은 각각 5000억원, 1조6000억원 감소했다.

 

기업대출은 대기업대출(47조3000억원)과 중소기업대출(82조4000억원)이 각각 5조1000억원, 11조2000억원 늘며 129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규모는 36조4000억원으로 전년 말에 비해 7조1000억원(24.2%) 증가해 전반적인 기업대출 증가를 이끌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업계가 자산운용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PF 등 대체투자를 늘리는 전략을 취했다"고 분석했다. 

 

▲ 자료=금융감독원 제공


지난해 말 기준 1개월 이상 원리금이 연체된 비율은 0.17%로 전년말보다 0.09%p(포인트) 낮아졌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38%로 전년말보다 0.19%p 하락했다. 그중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2%로 0.15%p 내려갔고, 그외 가계대출의 연체율은 1.03%로 0.34%p 하락했다. 기업대출 연체율도 0.08%로 0.03%p 낮아졌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13%로 전년말보다 0.05%p 하락했고 부동산PF대출도 0.11%로 0.09%p 내려갔다. 대기업 연체율은 전년도와 같은 0%였다.

 

부실채권비율은 0.15%로 0.02%p 하락했다. 가계대출 부실채권비율이 0.17%로 0.03%p 내려갔고, 기업대출 부실채권비율은 0.13%로 전년과 같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체율 등 보험사 대출건전성 지표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에 대응해 충분한 대손충당금 적립을 통한 손실흡수능력 강화를 유도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