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노조 "금감원의 ELS 제재, 무책임한 면피" 규탄

문혜원 / 기사승인 : 2024-03-14 18:53:08
  • -
  • +
  • 인쇄
'은행 판매 허용'한 금융당국 책임 강조
"실적압박 시달린 직원 보호 대책필요"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우리은행 노동조합이 14일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피해와 손실 사태에 대한 금융감독원 자율배상 기준을 두고 "부당징계"라며 판매사 책임에게만 돌리는 금감원의 행태를 강력하게 규탄했다.

 

▲ 우리은행 을지로 사옥 본사. [사진=우리은행 제공]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우리은행 지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금감원은 2019년 DLF와 라임사태 때와 같이 ELS도 은행에서 원금 손실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상품을 팔지 못하도록 했었다"라며 "그런데 한 달 만에 은행권 요구를 받아들여 놓고 금융당국의 책임만 회피한 권한 남용"이라고 비판했다.  

 

우리은행 노조는 이어 "수 년 간 주기로 반복되는 투자상품 손실사태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없이 영업현장의 업무처리 시간 증가와 어려움만 가중하는 설명조항, 녹취록 등의 실효성 없는 대책만 내놓고 있는 금감원의 자세에 개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은행 노조는 "ELS사태는 당국의 은행 비이자수익 확대 압박과 경영진 비이자 성과중심의 실적압박으로 인한 합작품"이라며 "은행 직원들을 성과주의 첨병으로 내모는 현실이 크다. 금융소비자 구제를 위한 확실하고 납득할 만한 보상안을 마련하고, 은행직원들의 보호에 대한 대책마련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번 우리은행 노조 성명서 발표가 타 은행노조들에게도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은행·금감원 간 판매허용 관련 책임 소재를 둘러싼 갈등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금감원은 앞서 지난 11일 홍콩 ELS 손실배상 0~100% 배상을 권고하는 분쟁 조정 기준안을 발표했다. 이에 은행들은 홍콩 ELS 관련 법적 검토를 진행 중이나, 자율배상에 대한  ‘배임’ 문제를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KB국민·신한·우리·하나 등 주요은행들은 홍콩 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주가연계증권(ELS) 손실에 대한 자율배상 여부를 두고 다음 주부터 이사회를 열어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간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혜원
문혜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SKT, 3분기 영업익 484억원…전년比 90.9%↓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매출 3조9781억원, 영업이익 484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3분기에는 ‘고객 감사 패키지’ 시행 등의 영향으로, 매출은 전년 동기 12.2%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90.9% 감소했다. 별도 기준 매출은 2조6647억원, 영업손실 522억원, 당기순손실 2066억원으로 집계됐다. 유무선

2

최수연 네이버 대표 "디지털 로컬 생태계 성장 위해 기술 지원 높일 것"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네이버는 최수연 대표가 APEC 행사가 개최되고 있는 경주에서 로컬 사업자들과 만나, 디지털 생태계에서 로컬 콘텐츠가 갖고 있는 다양성의 가치와 의미에 대해 강조했다고 30일 밝혔다. 최 대표는 첨단 기술을 이용해 로컬의 역사와 문화가 담긴 로컬 SME와 콘텐츠가 지역 대표 브랜드와 상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AI 교육 및 기술,

3

LG CNS, 3분기 영업익 1202억원…전년比 15.8%↓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 CNS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매출액 1조5223억원, 영업이익 1202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대비 5.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5.8% 감소했다. 누적 매출액은 4조1939억원, 영업이익 3399억원을 기록했다. 누적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5.9%, 영업이익은 8.7% 증가했다. LG CNS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