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박투어3' 김준호 "여친 있어 다행...없었으면 '독박투어' 빠질 뻔" 무슨 일?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2-21 09:07:48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독박투어3’의 홍인규가 ‘바람기 테스트’를 활용한 ‘독박 게임’을 제안해 파장을 일으킨다.

 

▲'독박투어3' 멤버들이 일본에서 즉흥 바람기 테스트로 독박자를 정해 대환장 모먼트가 펼쳐진다. [사진='독박투어3' 방송 갈무리]

 

21일(오늘) 저녁 8시 20분 방송하는 ‘니돈내산 독박투어3’(채널S, SK브로드밴드, K·star, AXN 공동 제작) 18회에서는 일본 야마나시현으로 22번째 여행을 떠난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가 ‘텐조산’ 전망대에서 즉흥 ‘바람기 테스트’를 해 ‘케이블카 비용’ 독박자를 정하는 대환장 모먼트가 펼쳐진다.

 

이날 ‘독박즈’는 케이블카를 타고 ‘텐조산’ 전망대에 올라가 ‘후지산’의 절경을 눈에 담는다. 뒤이어 케이블카 비용을 건 ‘독박 게임’을 하기로 하는데, 홍인규는 “SNS에서 유행하는 심리 테스트가 있다”며 “아내 혹은 여자친구에게 ‘바람기’ 성향을 묻는 심리 테스트 질문을 한 뒤, ‘소수 답변’을 보내온 사람이 독박자가 되기로 하자”고 말한다. 그러자 김준호는 “나한테 여자친구가 있어서 다행이네. 만약 없었으면 ‘독박투어’에서 빠질 뻔 했네~”라고 새삼 김지민에게 고마워한다. 이에 유세윤은 “맞다”라며 “이 정도면 거의 연애 프로그램이다”라고 호응해 웃음을 안긴다.

 

잠시 후 ‘바람기 테스트’ 질문에 대한 답변이 오고, 막간을 이용해 ‘독박즈’도 직접  테스트를 해본다. 이때, 홍인규는 김준호가 고른 답에 대해, “바람기가 거의 없는 편”이라는 해석을 내놓는다. 하지만 “만약 당신에게 애인이 있다면 이미 마음이 식었을 확률이 높다”라는 설명을 덧붙여 김준호를 당황케 한다. 그런가 하면, 김대희와 유세윤이 고른 답에 대해서도 홍인규는 진지하게 분석을 해주는데, “이 두 사람은 바람기와 성욕이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설명해 파장을 일으킨다. 유세윤은 놀라서 잠시 ‘얼음’이 되더니, “그래서 내가 우리 와이프랑 잘 맞는다”라며, “최근엔 역할극(?)도 했다”고 셀프 폭로해 현장을 초토화시킨다.

 

과연 ‘독박즈’의 아내들은 ‘바람기 테스트’에서 답을 골랐을지, ‘아내 문자 게임’의 결과가 궁금해지는 가운데 ‘케이블카 비용’ 독박자의 정체는 21일 저녁 방송하는 ‘니돈내산 독박투어3’ 18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독박투어3’는 채널S, K·star, AXN에서 동시에 방송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현대해상, 아이마음 탐사대 프로젝트 'SPACE 0' 단계 돌입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해상은 '아이마음 탐사대' 프로젝트를 수행할 팀 선정을 완료했다고 29일 밝혔다. '아이마음 탐사대'는 '우리는 어떻게 아동 발달 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란 질문으로 시작된 프로젝트로, 발달지연 및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조기개입 솔루션을 찾아 나선다. 지난 6월부터 두

2

LG전자인증점 오케이오아시스, ‘넾다세일(구 네쇼페)’ 참여… 루나그램 노트북 최대 7만 원 할인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네이버의 대표 프로모션인 ‘넾다세일(구 네쇼페)’이 이달 29일부터 다음달 11일까지 열린다. LG전자인증점 ‘오케이오아시스’도 이번 행사에 참여하여 루나그램, 루나그램 프로, 그램 올데이 등 주요 LG 그램 시리즈 노트북을 최대 7만 원까지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다. 또한 LG전자는 고객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할인 쿠폰 및 추가 적

3

박용갑 의원, “국가철도공단, 빌딩자동제어장치 구매액 특정 업체 수의계약 몰아줘”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이 ‘국가철도공단 계약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2년 5월부터 2025년 6월까지 건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빌딩자동제어장치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구매액 10억 8506만 원 중 81.1%인 8억 8,006만 원을 특정 업체에 수의계약으로 몰아준 것으로 확인됐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