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무계획2' 전현무, 정호영 셰프-류승수와 제주 '먹트립' 돌입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0-16 09:42:46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전현무계획2’ 전현무가 ‘제주 도민’ 정호영-류승수와 ‘극과 극’ 대환장 케미를 발산하며 제주 먹트립을 ‘꿀잼’으로 이끈다.

 

▲'전현무계획2' 전현무와 정호영 셰프, 류승수와 만나 제주 먹트립에 나선다. [사진='전현무계획2']

 

18일(금) 밤 9시 40분 방송하는 본격 리얼 길바닥 먹큐멘터리 ‘전현무계획2’(MBN·채널S 공동 제작) 2회에서는 전현무가 제주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제주 사위’ 정호영 셰프와 ‘가족과 제주살이 4년 차’ 배우 류승수와 함께 제주 먹트립에 나서는 현장이 공개된다. 

 

앞서 전현무는 제주 첫 끼로 각재기국과 멜튀김(멸치튀김)을 먹고, 시즌2 첫 ‘먹게스트’인 배우 김남길과 만나 숨은 갈치조림 맛집과 삼겹살&묵은지 맛집을 섭렵했던 터. 다음 날, 제주 2일 차를 맞은 전현무는 “오늘도 배 뽕그랑허게(배 터지게) 먹어보게”라며 ‘길터뷰’ 출사표를 던진 뒤, 이호테우 해변으로 향한다. 이어 ‘전현무계획’의 시그니처인 ‘다짜고짜 길터뷰’를 시도한다. 현지 도민들은 한 목소리로 ‘접짝뼈국’이라는 독특한 음식을 추천하고, 전현무는 곧장 ‘제주도민’ 정호영에게 전화를 건다. 그런데 정호영도 그에게 접짝뼈국을 강추해 소름을 유발한다. 

 

직후, 전현무는 “이 형은 대식가인데 미식가다. 미식에 조예가 깊어서 신뢰도는 기대 이상”이라고 정호영 셰프를 소개하며 그를 찾아간다. 하지만 정호영을 만난 전현무는 “형 보니까 어제의 트라우마가 생각났어. 제주 바다낚시를 했는데 내가 놓아준 물고기랑 닮았어”라고 냅다 돌직구를 던진다. 정호영은 “아.. 복어?”라고 놀라더니, 쿨하게 셀프 인정한다. 나아가 정호영은 “복어가 승질이 더러워서…”라고 받아쳐, 대환장 케미를 발산한다. 전현무는 “그렇지! 완전히 형 그 자체~”라면서 업된 텐션으로 제주 맛집으로 향한다. 

 

잠시 후, 접짝뼈국 맛집에 도착한 두 사람은 주문도 하지 않았는데 곧장 대접 세 개가 떡 하니 놓이자 궁금해 하고, 드디어 접짝뼈국을 영접한 전현무는 “비주얼이 원래 이러냐?”며 ‘동공지진’을 일으킨다. 하지만 맛을 본 전현무는 “미쳤나봐. 왜 이걸 안 먹고 살았지?”라고 찐 감탄한다. 정호영 역시 국물을 사발 째 들이켠 뒤 “베지근하다~”(고기 국물 맛이 깊다)라고 ‘제주 방언’으로 표현한다. 특히 가슴에 손을 대며 온몸으로 접짝뼈 부위를 표현한 특급 셰프의 몸개그(?)에 전현무는 웃음을 빵 터뜨린다. 

 

전현무와 ‘기대 이상의 미식가’ 정호영이 극찬한 제주 접짝뼈국 맛집이 어디일지 궁금증이 쏠리는 가운데, 전현무가 정호영 이후 만난 ‘미식가 이미지가 1도 없는 제주 형’ 류승수와의 극과 극 ‘폭탄 케미’도 폭발하는 MBN·채널S 공동 제작 예능 ‘전현무계획2’ 2회는 18일(금) 9시 40분 방송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