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환, “밖에서 술 먹고 있으면 아내 아닌 딸한테 전화와” 애정 뿜뿜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6-05 10:24:47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채널A ‘선 넘은 패밀리’ 이혜원이 안정환의 빠른 귀가를 부른 딸의 전화가 엄마의 큰 그림이었다고 ‘셀프 폭로’해 스튜디오를 폭소로 물들인다.

 

▲ 6월 7일 방송하는 '선 넘은 패밀리'에서 기욤 패트리가 출연해 '딸 바보' 면모를 발산한다. [사진=채널A]

 

6월 7일(금) 밤 9시 40분 방송하는 채널A ‘선 넘은 패밀리’ 37회에서는 세계 각국의 다양한 직업의 세계가 공개된다. 캐나다 김예원X맥스 가족은 최고의 호텔 컨시어지인 클레도어가 하는 일을 소개한다. 베트남 이헌기X릴리 커플은 릴리의 부모님이 운영하고 있는 식당을 찾아 하루 일과를 함께한다. 이탈리아 성덕X줄리아 가족은 검사장인 줄리아의 아버지와 함께 이탈리아 법원을 탐방한다. 이와 함께, 캐나다 출신 기욤 패트리와 더불어 샘 해밍턴, 크리스티나가 각각 호주와 이탈리아 대표로 나서, 스튜디오를 꽉 채운다.

 

이날 모처럼 ‘선 넘은 패밀리’를 찾은 기욤 패트리는 “딸 레아를 키우느라 바빴다”며 그간의 근황을 들려준다. 이에 안정환은 “표정이 벌써 ‘딸 바보’다”라며 흐뭇해하고, 송진우는 “딸은 인생 필수템!”이라며 딸을 둔 아빠로서 대동단결한다. 특히 안정환은 "아빠라면 딸을 사랑할 수밖에 없다"면서 "밖에서 술 먹고 있으면 엄마한테는 전화가 안 오고 딸한테서 온다“라고 딸의 효심을 자랑한다. 이에 이혜원은 ”(딸은) 무조건 프리패스거든~“이라며 ”다 엄마가 뒤에서 조종하는 것“이라고 뒤늦게 진실을 고백해 모두를 빵 터지게 만든다.

 

‘딸 바보’들의 화기애애한 대화 후, 두 아들 루이와 휴고를 키우고 있는 캐나다 ‘아들 바보’ 김예원X맥스 가족이 등장한다. 캐나다 출신 기욤은 이들의 거주지 몬트리올에 대해 “캐나다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다. 프랑스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북미의 파리로 불린다”며 자신 있게 현지 정보를 전달한다. 거침없이 설명을 이어가던 중 기욤은 “유명한 랜드마크인 몽…”이라면서 단어가 생각이 안 나는지 한참을 버벅거린다. 그러다 간신히 ‘몽로얄 공원’을 기억해낸 기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는데, 유세윤은 “이거 틀렸으면 다음에 안 불렀어~”라고 정곡을 찔러 현장을 초토화시킨다.

 

‘딸 바보’ 모먼트를 폭발시킨 안정환-송진우-기욤의 찰떡 티키타카와, 캐나다-베트남-이탈리아의 ‘선넘팸’이 소개하는 다양한 직업의 세계는 6월 7일(금) 밤 9시 40분 방송하는 채널A ‘선 넘은 패밀리’ 37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경찰, 국정자원 화재 전담팀 가동...원인 수사 본격화
[메가경제=정호 기자] 경찰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의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한 전담팀을 구성하며 본격 수사에 나섰다. 28일 대전경찰청에 따름녀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에서 소방당국, 국립과학구사연구원과 합동 감식에 나섰다. 전담 수사팀은 김용일 형사과장(총경)을 팀장으로 20명 규모로 알려졌다. 해당 팀은 화재가 발생한 '무정전·전원

2

100만 인파 몰린 불꽃축제 '성료'…'대박' 터진 편의점·호텔
[메가경제=정호 기자]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5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성황리에 마무리되면서 편의점과 호텔이 높은 매출을 거뒀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날 불꽃축제에는 한강공원이 인접한 여의나루역을 무정차 통과할 정도로 인파가 몰렸다. GS25 편의점 10개 매장은 지난 20일 토요일 대비 하루 매출이 850% 급증했다. 특히 오후

3

한국화 거장 '소호' 김숙진 화백 5번째 개인전 '자연, 그곳에 머물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거짓과 허구, 겉치레와 인공미가 판치는 세상에 실존적 사실과 진실은 분간하기조차 어려워지고 자연과 호흡하며 살던 순전하고 서정적인 인간 심상은 점차 옛얘기가 돼 가고 있다. ‘혼돈’이라 할 만큼 종잡을 수 없는 일상에 지친 우리에게, 자연의 숨결과 동화적인 서정성을 일깨워주고 실존적 사실과 진실의 힘을 보여주는 존재는 그만큼 소중할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