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싱글즈6' 희영♥진영, '신혼 생활' 시작?! 과감한 스킨십 등 '달달함 폭발'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1-21 10:52:17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여기 카메라 사각지대 아니야?” 

 

▲현실커플로 발전한 희영과 진영이 단둘이 떠난 1박 2일 여행에서 오붓한 저녁을 보내고 있다. [사진='돌싱글즈6' 방송 갈무리]

 

MBN ‘돌싱글즈6’의 희영♥진영이 둘만의 ‘신혼 생활’을 마음껏 즐기며 ‘로맨스 폭주’를 가동한다. 

 

21일(오늘) 밤 10시 20분 방송하는 MBN ‘돌싱글즈6’ 11회에서는 ‘비주얼 원톱 커플’ 희영X진영이 단둘이 떠난 1박2일 여행에서 오붓한 저녁을 보내는 현장이 공개된다. 

 

처음으로 떠난 여행에서 진영의 ‘버킷리스트’인 웨딩 촬영을 진행하며 추억을 쌓은 두 사람은, 저녁이 다가오자 함께 식사 준비에 나선다. 무엇보다 진영-희영 두 사람 모두는 짧은 결혼 생활 끝에 이혼한 만큼, 신혼 생활을 제대로 즐기지 못한 아픔이 있던 터. “(전 결혼에서) 배우자와 요리를 같이해본 적이 없어서, 기분이 이상하다”는 이들은 요알못들의 ‘대환장’ 상황 속에서도 꽁냥꽁냥한 모습으로 저녁을 완성하며 ‘신혼부부’의 바이브를 풍긴다. 

 

오붓한 식사를 즐긴 두 사람은 ‘결혼 모의고사’를 함께 풀며 서로의 가치관을 확인한다. 이중 ‘아이 계획’에 관한 질문이 나오자 진영은 “생각이 없다”는 입장을 보인 반면, 희영은 “우리 아이도 필요하지 않을까?”라고 조심스럽게 말한다. 상황을 지켜보던 스튜디오 MC 이혜영은 “나의 경우 딸이 처음에는 동생이 싫다고 얘기했지만, 화목한 가정생활이 이어지자 욕심을 내더라”며 솔직한 경험담을 밝히기도 한다. 아이 문제로 이견을 보인 두 사람이 과연 어떤 결론을 내리게 될지 관심이 모인다. 

 

밤이 깊어지자 희영X진영은 으슥한 곳에서 “카메라 사각지대 아니야?”, “그럼 뭘 할 수 있는데?”라고 속닥대더니 보다 과감한 스킨십을 감행한다. 불 붙은(?) 두 사람은 침대를 비추고 있는 카메라에 대해, “불을 끄면 어디까지 찍을 수 있는지 테스트해 보자”고 의기투합한다. 그러면서 세상 진지한 자세로 카메라 모니터 테스트를 해 폭소를 자아낸다. 이에 MC 은지원은 “대체 이걸 왜 체크해, 진짜 뭔가를 해보려고 하는 거야?”라고 황당해하고, 이지혜 역시 “이 모습조차 방송에 다 나가고 있는데, 뭘 하려고~”라며 웃음을 빵 터뜨린다. 

 

둘만의 시간을 보내며 더욱 가까워진 희영♥진영의 에피소드 외에, 방글♥시영이 각자의 동생을 불러 ‘가족 식사’를 진행하는 모습, 보민♥정명이 보민의 고향인 경남 양산에서 ‘시골살이’에 나서는 현장은 21일(오늘) 밤 10시 20분 방송하는 ‘돌싱글즈6’ 11회에서 만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나은행, '2025 부동산 投:語(투:어) 세미나' 개최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하나은행은 지난 21일과 23일 양일 간 자산가 고객 60여명을 초청해 ‘투자를 말하다, 2025 부동산 투어(投:語, Tour)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하나은행의 '부동산 투어 세미나'는 자산관리를 담당하는 하나더넥스트본부 소속 부동산 전문위원들이 자체적으로 선정한 투자 유망지역을 VIP고객과 함께 소그

2

우리銀, ‘살롱 드 원더라이프’오픈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우리은행은 시니어 고객을 위한 오프라인 커뮤니티 ‘살롱 드 원더라이프(Salon de WONDER LIFE)’를 21일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열고 본격 운영을 시작했다고 22일 밝혔다. ‘살롱 드 원더라이프’는 은행이 단순한 금융 거래 장소를 넘어 고객의 삶과 함께하는 시니어 전용 라이프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전략적 거점이다

3

KB국민은행, '모니모 KB 매일이자 통장' 판매 한도 확대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KB국민은행은 삼성금융네트웍스의 통합 금융 플랫폼인 모니모와 협업한 '모니모 KB 매일이자 통장'의 판매 한도를 늘렸다고 22일 밝혔다.'모니모 KB 매일이자 통장'은 지난 4월 출시 이후 약 두 달 만에 판매 한도인 22만5000좌를 모두 소진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이 후 금융당국의 혁신금융서비스 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