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넘패' 안정환 "혜원이가 먹어야겠네" 몽골 양가슴살 '급' 권유한 속내는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2 10:55:59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채널A ‘선 넘은 패밀리’ MC 안정환이 ‘몽골 패밀리’의 정통 상견례 현장을 지켜보던 중, 예비 신부가 ‘양가슴살’을 먹는 모습과 그 의미를 알게 되자 이혜원에게 ‘양가슴살’ 요리를 ‘급’ 권유해 폭소를 안긴다.  

 

▲'선 넘은 패밀리'에 '몽골 패밀리' 김대열X이지아가 출연해 몽골 전통 상견례 현장을 공개하고 있다. [사진=채널A]

 

4일(금) 밤 9시 40분 방송하는 채널A ‘선 넘은 패밀리’ 53회에서는 안정환, 이혜원, 유세윤, 송진우가 스튜디오 MC로 자리한 가운데, 몽골, 프랑스, 캐나다로 선 넘은 패밀리들이 전하는 생생한 현지 이야기가 펼쳐져 안방에 유쾌한 재미와 알찬 정보를 전달한다.

 

이날 ‘몽골 패밀리’ 김대열X이지아는 “최근 혼인신고를 마쳤다”고 깜짝 발표해 스튜디오 MC들의 축하 박수를 받는다. 이어 김대열은 “아직 저희 부모님께 지아를 소개하지 않았다. 혼인신고를 먼저 했다”고 설명한다. 안정환은 깜짝 놀라더니, “보통은 (부모님에게) 인사드린 다음에, ‘사정상 결혼식은 나중에 할 테니 혼인신고부터 먼저 하겠다’고 하지 않나?”라고 걱정스럽게 묻는다. 유세윤 역시, “(부모님께서) 조금 서운해 하실 것 같다”고 염려한다. 다행히 김대열은 “부모님과 친형 가족을 몽골로 초대했다”며, 양가 가족을 모시고 ‘몽골 전통식 상견례’를 치르는 현장을 공개해 모두를 안심시킨다. 

 

특히 몽골의 전통 상견례는 어마무시한 스케일로 눈길을 사로잡고, 이를 지켜보던 안정환은 “결혼식 정도로 준비하네. 너무 색다르고 신기하다”며 연신 감탄한다. 이날의 ‘몽골 대표’ 패널로 스튜디오에 자리한 나문 역시, “몽골에선 상견례 때, 신부에게 양가슴살을 쪄서 준다. 그걸 먹으면 ‘신부 성격이 부드러워진다’는 설이 있어서”라고 설명해 모두의 귀를 쫑긋하게 만든다. 안정환은 “양가슴살이 그렇다고?”라고 재차 확인하더니, 이혜원을 바라보며 “먹여야 되겠네~”라고 너스레를 떤다. 유세윤은 “양가슴살을 가루로 만들어서 커피에 살짝 넣어봐라”고 용감하게 조언하고, 이혜원은 “저는 아마 (양가슴살을 먹으면) 힘이 세질 것~”이라고 재치 있게 응수해 현장을 초토화시킨다.

 

‘몽골 패밀리’ 김대열X이지아의 성대한 ‘지각 상견례’ 현장은 4일(금) 밤 9시 40분 방송하는 채널A ’선 넘은 패밀리’ 53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