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현모와 이혼' 라이머 "남몰래 오열...누구도 이런 상황 원치 않았다"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7 08:26:05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프로듀서 라이머가 "동시통번역사 안현모와 이혼 후 남몰래 오열했다"며 심경을 밝혔다.

 

▲라이머가 안현모와의 이혼 심경을 털어놓고 있다. [사진=SBS]

 

라이머는 6일 방송한 SBS '미운 우리 새끼'에 출연해 이혼 후 일상을 첫 공개했다. 라이머는 안현모와 지난 2017년 결혼했지만, 지난해 11월 이혼했다. 두 사람은 SBS '동상이몽2'(2019), tvN '우리들의 차차차'(2022) 등 다수의 부부 동반 예능에 출연해 결혼생활을 공개했지만 각자의 길을 걷게 됐다. 

 

이날 라이머는 "이혼 후 어머니집 근처로 이사했다. 이번에 이혼을 겪으면서 갑자기 (교회에서) 찬송가를 부르다 옆에 부모님이 계시는데 혼자 펑펑 울었다. 부모님이 마음 아파하실까봐 눈물이 미친 듯이 뜨겁게 흐르는데 (안 우는 척했다)"며 "교회 가서 내가 그렇게 펑펑 눈물을 흘릴 줄 몰랐다. 마음 속 깊은 상처와 아픔을 꺼내지 않은 게 있었다"고 고백했다. 

 

이에 이상민은 "이혼이라는 고통을 이겨내려면 자기가 믿는 신에게 가는 게 루틴인가 보다. 혼자 어디 가기가 너무 창피하다. 상황도 안 좋고 사업도 망하고 이혼도 하면 사람도 못 만난다. 교회가 나에게는 천국인 거다. 아무도 없다. 두 시간 동안 오열했다. 평일 저녁에 힘들 때마다 울었다. 엉엉 울어도 누가 뭐라 안 한다. 부처님을 믿는 분들은 절에 가서 엉엉 운다고 누가 뭐라고 하겠냐"라고 라이머의 발언에 깊게 공감했다.

 

라이머는 "진짜 새 삶을 살게 됐다. 어떻게 살아내야하는 걸 너무 많이 느꼈다. 형님이 삼성동 집에 왔을 때 우리가 했던 얘기 중에 그런 게 있었다. 형과 살아온 길이 비슷해서 형 보고 따라왔다고 했는데 '끝까지 따라가면 안 되는데'라고 했는데 내가 형 따라 끝까지 온 것 같기도 하다"라며 웃었다. 이상민은 "네가 아직 사업은 망하지 않았다. 사업이 망하면 따라온 거다"라며 너스레를 떨어 웃음을 안겼다.

 

라이머는 "저희 부부는 꽤 오래 살았다. 5년 반 살았다. 마무리가 되어갈 때 부모님께 말씀드렸다"라며 "그 전이 너무 괴로웠다. 마음 정리가 됐을 때 말씀드렸는데, 엄청 놀라실 줄 알았는데 다른 이야기를 안 하셨다. '그랬구나, 걱정하지 마라. 좋은 일이 생길거다. 네가 선택한 거면 네가 더 행복하게 잘 사는 게 중요하다'고 말씀하셨다"고  고백했다.

 

마지막으로 라이머는 "부부가 어떻게 항상 좋고 나쁠 수만 있겠냐. 좋을 수도 있고 나쁠 때도 있다. 5년 반이란 시간 안에 많은 일이 있었다. 그 순간순간 행복하기도 하고 힘들기도 했다. 사실 저나 그 친구나 이런 상황을 원치 않았다. 절대 원치 않았다"고 털어놨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