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단독주택 공시가격 5.95%↓ "14년만에 첫 하락"…표준지 공시지가도 5.92%↓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2-12-15 08:03:33
  • -
  • +
  • 인쇄
23년 표준지‧표준주택 공시가 공개…1월2일까지 의견 받고 1월 25일 공시
현실화율 2020년 수준으로 환원…현실화율 표준주택 53.5%‧표준지 65.4%
환원 효과로 서울 단독주택은 8.55% 떨어져…보유세 부담 낮아질 듯
아파트 등 공동주택 공시가격 내년 3월 공개…하락폭 더 클지 주목

내년 전국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올해보다 5.95% 하락한다. 올해 10.17% 대비 16.09%포인트(p) 감소했다.

내년 표준지 공시가는 5.92% 내린다. 올해 10.17% 대비 16.09%포인트 줄었다.

표준 단독주택 및 토지의 공시가 하락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정부가 최근 부동산 침체를 감안하여 보유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2023년 공시가 현실화율을 2020년 수준으로 하향 조정한 결과다.
 

▲ 내년 전국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올해보다 5.95% 내린다. 표준지 공시가는 5.92% 하락한다. 사진은 14일 서울 남산에서 내려다 본 일대 주택. [서울=연합뉴스]

국토교통부는 2023년 1월 1일 기준 표준지와 표준주택의 공시가격을 공개하고 소유자 의견과 의견청취 절차를 내년 1월 2일까지 20일 간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내년도 표준지는 전국 공시대상 토지 3502만 필지 중에서 56만 필지가 대상이다. 올해보다 약 2만 필지 증가했다.

내년도 표준주택은 전국 단독주택(다가구‧다중‧용도혼합주택 포함) 411만호 중에서 25만호가 대상이다. 올해보다 1만호 늘었다.

표준지와 표준주택 공시가격은 개별공시지가와 개별주택가격 산정의 기준으로, 이 가격이 확정되면 지자체에서 이를 토대로 개별 토지와 단독주택에 대한 공시가가격을 산정하게 된다.

공시가는 재산세·종합부동산세와 건강보험료·기초연금 등 67개 행정제도 기준으로 사용된다. 공시가 하락으로 보유세 부담이 다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 도별 전국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변동률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내년 전국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 변동률은 전국 평균으로 5.95% 내렸다.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 하락은 2009년(-1.98%) 이후 14년 만이다. 2020년에는 4.47%, 2021년엔 6.80%, 올해는 7.34% 올랐다.

내년 현실화율 하향 조정 효과로 전 지역에서 공시가격이 줄었다.

▲ 시‧도별 표준주택가격(안) 변동률. [국토교통부 제공]

서울(-8.55%)이 가장 크게 떨어졌고, 이어 경기(-5.41%), 제주(-5.13%), 울산(-4.98%), 대전(-4.84%) 순으로 감소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보다 공시가격 하락폭이 작은 지역은 전남(-2.98%), 강원(-3.10%), 부산(-3.43%). 광주(-3.47%), 전북(-3.53%) 등이다.

2023년 표준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53.5%로 올해(57.9%)보다 4.4%포인트 낮아졌다.

서울 시내 중에서도 고가 주택이 많은 강남구(-10.68%), 서초구(-10.58%), 송파구(-9.89%), 용산구(-9.84%), 마포구(-9.64%) 공시가격이 크게 내렸다.

그간 공시가 현실화 로드맵에 따라 고가 단독주택 현실화율이 더 빠른 속도로 올랐던 것을  되돌리다 보니 공시가가 더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다.

▲ 연도별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내년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은 전국 평균으로 5.92% 내렸다.

이 역시 2009년(-1.42%) 이후 14년 만의 하락이다.

표준지 공시지가는 2021년엔 10.35%, 올해는 10.17% 오르며 2년 연속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었다.

▲ 시‧도별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 [국토교통부 제공]

시‧도별로는 경남(-7.12%)의 하락폭이 가장 컸고, 이어 제주(-7.09%), 경북(-6.85%), 충남 (-6.73%), 울산(-6.63%) 순으로 감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용상황별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 [국토교통부 제공]

이용상황별로는 임야(-6.61%), 농경지(-6.13%), 주거(-5.90%), 공업(-5.89%)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내년 표준지 공시지가 현실화율은 65.4%로 올해(71.4%)보다 6%포인트 낮아졌다.

정부가 내년 공시가 현실화율을 낮춘 것은 부동산 시장 침체가 이어질 경우 공시가격이 실거래가보다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빈번해질 수 있다고 보고, 문재인 정부가 현실화 로드맵을 수립하기 전인 2020년 수준으로 되돌린 데 따른 결과다.

공시가 현실화율을 2020년 수준으로 되돌린 것은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을 7.5%, 표준지는 8.4% 떨어뜨리는 효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시세가 소폭 상승한 것으로 판정되면서 실제 공시가 하락률은 이보다 낮은 5%대로 축소됐다.

표준지·표준주택 공시가의 열람 및 의견 청취 기간은 내년 1월 2일까지다. 이후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년 1월 25일 공시된다.

이와는 별도로, 아파트·연립·빌라 등 표준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내년 3월에 공개된다.

최근 집값 급락을 감안할 때 내년 공동주택 공시가는 표준지, 표준 단독주택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할 가능성도 있어 주목된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