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티머스 판매 NH투자증권 정영채 대표 '문책경고'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3-26 08:09:48
  • -
  • +
  • 인쇄
직무정지에서 한단계 낮아져, NH證 업무 일부정지·과태료 부과
수탁사 하나은행 업무 일부정지…금융위에서 최종 확정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금융감독원이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로 투자자 피해가 발생한 옵티머스 펀드 사태와 관련해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에게 '문책 경고'를 금융위원회에 건의하기로 했다. 사전 통보된 '3개월 직무정지'에서 한단계 경감된 조치다.

 

25일 금감원은 제재심의위원회(제재심)를 열고 옵티머스 사태 관련 NH투자증권과 수탁사인 하나은행에 대한 검사 결과 조치안을 심의해 이같이 결정했다.

 

제재심은 금감원장의 자문기구로서 심의결과는 법적효력이 없다. 추후 조치대상자별로 금감원장 결재, 증권선물위원회 심의 및 금융위 의결을 통해 제재내용이 최종 확정된다.


 

지난 4일 오후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이사가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열린 옵티머스펀드 관련 제재심의위원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유스 제공]


금감원은 지난달 19일과 지난 4일 두 차례 논의를 진행했지만 사안을 두고 첨예한 논쟁이 이어지며 결론을 내지 못했었다. 

금감원은 NH투자증권이 옵티머스펀드 부당권유 금지의무 위반, 내부통제기준 마련의무 위반, 설명내용 확인의무 위반, 투자광고 절차 위반 등을 했다고 봤다. NH투자증권의 옵티머스 펀드 판매액은 4327억원으로 전체 환매중단 금액의 84%에 달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제재심은 본 건 심의대상이 대규모 투자자 피해 및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중요 사안인 점 등을 감안해 증권사 측 관계자들(법률대리인 포함)과 검사국의 진술 설명을 충분히 청취해 심도있게 심의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내부통제 미비 등의 책임을 물어 최고경영자인 정 대표에게 중징계에 해당하는 '문책경고'를 결정했다.

금융사 임원에 대한 제재 수위는 △해임 권고 △직무 정지 △문책 경고 △주의적 경고 △주의 등 5단계로 나뉜다. 문책경고 조치를 받는 경우 향후 3년간 금융사 임원 선임이 제한된다. 

 

금감원은 하나은행에 대해서는 업무 일부정지를 금융위에 건의하기로 했다. 하나은행은 보관·관리하는 집합투자재산간 거래 금지 위반, 운용지시없는 투자대상자산의 취득·처분 등 금지를 위반한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 직원에 대해서는 금융위 의결이 확정되는 대로 금감원장이 조치할 예정이다. 이번에 지성규 하나은행장은 제재 대상에서 제외됐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